728x90
조경기사 필기 [0911]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조경기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조경기사 시험과목은 " 조경사, 조경계획, 조경설계, 조경식재, 조경시공구조학, 조경관리 " 총 6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조경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무작위)으로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조경사
1.
다음 중 “정원술에서의 스케치와 힌트”라는 저서를 쓰고 영국 풍경식 조경을 완성시킨 조경가는?
①
William Chambers
②
Humphrey Repton
③
Lancelot Brown
④
Charles Bridgeman
정답 : ② Humphrey Repton (2015년1회)
2.
다음 설명하는 용어는?
꽃나무를 심고 그 가지를 들어올려서 문이나 병풍처럼 꾸민 것으로 시선을 가리거나 공간의 깊이를 더하기 위하여 또는 관상하며 즐기기 위하여 도입된 것 |
①
취병
②
화분
③
화오
④
화계
정답 : ① 취병 (2014년1회)
3.
중국에서 조경에 관계되는 한자의 의미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원(園) : 과수류를 심었던 곳으로 울타리가 있는 공간
②
유(囿) : 짐승이나 조류를 기르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
③
원(苑) : 짐승이나 조류, 식물 등을 기르거나 자생하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
④
정(庭) : 건물이나 울타리에 둘러싸인 평탄한 뜰
정답 : ③ 원(苑) : 짐승이나 조류, 식물 등을 기르거나 자생하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 (2014년2회)
4.
바로크(Baroque)식 정원의 특징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16세기 말부터 17세기에 걸쳐 이탈리아 정원에서 나타났다.
②
최초의 바로크 취미는 정원동굴(grotto)이라 할 수 있다.
③
물을 기교적으로 다양하게 처리하여 즐기려는 풍이 있었다.
④
토피아리의 기법을 버리고 자연수목의 형태에서 낭만을 즐겼다.
정답 : ④ 토피아리의 기법을 버리고 자연수목의 형태에서 낭만을 즐겼다. (2010년2회)
5.
회유식 정원을 기본으로 하여 경도풍(京都風)의 경원에 자연풍(自然風)의 기법을 가미하여 꾸며 졌으며, 중국적인 조경요소인 소여산(小廬山) · 원월교(圓月橋) · 서호제(西湖堤)가 배치되어 있는 일본 정원은?
①
대선원(大仙院) 서원
②
소석천 후락원(小石川 後樂園)
③
수학원 이궁(修學院離宮)의 상다옥원(上茶屋園)
④
육의원(六義園)
정답 : ② 소석천 후락원(小石川 後樂園) (2009년2회)
6.
강호(에도)시대 이도헌추리의 "축산정조전후편"에서 밝힌 정원 형식이 아닌 것은?
①
축산
②
계간
③
평정
④
노지정
정답 : ② 계간 (2021년4회)
7.
정원의 조영시기가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①
피에졸레 → 마다마 → 에모 → 보르뷔콩트
②
마다마 → 피에졸레 → 카스텔로 → 로톤다
③
마다마 → 피에졸레 → 로톤다 → 보르뷔콩트
④
란테 → 마다마 → 로톤다 → 베르사유궁전
정답 : ① 피에졸레 → 마다마 → 에모 → 보르뷔콩트
(2017년2회)
(2017년2회)
8.
1924년 '소정원 설계'란 저서에서 가로에 면한 거실과 뒷뜰에 면한 부엌에 대한 종래의 관습을 파기하고 정원은 옥외 거실임을 주장한 사람은?
①
스틸(Fletcher Steel)
②
그로피우스(W. Gropius)
③
르 코르뷔제(Le Cerhusier)
④
기디온(S. Giedion)
정답 : ① 스틸(Fletcher Steel) (2009년1회)
9.
다음 설명과 일치하는 조경 공간은?
- 한나라의 장안(長安) 서쪽 위수(渭水) 에 위치하였다. - 둘레의 길이가 300여리로 70개소의 이궁과 원내에는 각지로부터 헌납 받은 꽃나무 3000여종이 식재되어있고, 백수(白獸)를 사육하였다. - 곤명호를 비롯한 6개의 대호수가 있다. |
①
상림원 (上林苑)
②
화림원 (華林園)
③
온천궁 (溫泉宮)
④
구성궁 (九城宮)
정답 : ① 상림원 (上林苑) (2015년4회)
10.
20세기 초 도시미화운동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한 미국의 조경가는?
①
맥킴(C. McKim)
②
번햄(D. Burnham)
③
로빈슨(C. Robinson)
④
생고덴(A. Saing-Gaudens)
정답 : ③ 로빈슨(C. Robinson)
(2017년4회)
(2017년4회)
11.
브라질 조경가 벌 막스(Roberto Burle Marx) 작품의 특징은?
①
향토식물의 적극 활용
②
20세기의 바로크 양식
③
캘리포니아 양식
④
기하학적 정원 양식
정답 : ① 향토식물의 적극 활용
(2016년4회)
(2016년4회)
12.
고려시대 궁궐정원을 맡아보던 관서는?
①
내원서
②
상림원
③
장원서
④
사복시
정답 : ① 내원서 (2016년1회)
13.
다음 중 일본에서 가장 먼저 발생한 정원 양식은?
①
다정식(茶庭式)
②
축경식(縮景式)
③
회유임천식(回遊林泉式)
④
원주파 임천식(遠州派林泉式)
정답 : ③ 회유임천식(回遊林泉式) (2020년4회)
14.
중국 소주의 정원 중 화려한 정원 건축물이 많고 허와 실, 명암대비 등 변화있는 공간처리와 유기적 건축배치를 가진 것은?
①
졸정원
②
사자림
③
작원
④
유원
정답 : ④ 유원 (2014년1회)
15.
중국 송의 유학자 주돈이의 애련설과 관련된 보길도 윤선도 원림에 있는 시설은?
①
익청헌(益淸軒)
②
동천석실(洞天石室)
③
낙서재(樂書齋)
④
녹우당(綠雨當)
정답 : ① 익청헌(益淸軒) (2017년1회)
16.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곳은?
[보기] 중앙축은 중심으로 대칭이며, 현관 앞을 3단계로 구성하여 올라가면서 시계의 변화를 얻을 수 있도록 처리하였다. 정원 국부에는 축을 중심으로 축선상에 원형 공지, 용의 분수, cento fountain이 설치되며, 도로는 트렐리스 터널로 형성되었다. |
①
Villa Lante
②
Villa d'Este
③
Villa Farnesiana
④
Villa Medici
정답 : ② Villa d'Este (2012년4회)
17.
“추고천황(推古天皇) 20년(612년)에 백제의 노자공(路子工)이 수미산(須彌山)과 오교(吳橋)를 만들어 놓았다.” 라는 내용이 포함된 일본 최초 정원에 관한 기록서는?
①
작정기(作庭記)
②
일본서기(日本書紀)
③
축산정조전 전편(築山庭造傳 前篇)
④
석조원생팔중탄전(石組園生八重坦傳)
정답 : ② 일본서기(日本書紀) (2017년4회)
18.
정원유적은 시나 그림에 의해 유구 없이도 조영과 작정자의 의도를 어느 정도 파악해 볼 수 있다. 별서나 정자 등의 외부공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기(奇)
②
경(景)
③
유(遺)
④
음(音)
정답 : ② 경(景) (2016년1회)
19.
한자로 된 식물명을 한글로 잘못 적은 것은?
①
槐 : 회화나무
②
紫薇 : 장미화
③
木槿 : 무궁화
④
山茶 : 동백
정답 : ② 紫薇 : 장미화 (2011년1회)
20.
서양 중세(中世) 초기(初期)에 발달한 정원 양식은?
①
빌라(villa)
②
민가(民家)
③
수도원(修道院)
④
왕이나 귀족의 별장
정답 : ③ 수도원(修道院) (2017년1회)
조경계획
21.
동시 수용력을 구함에 있어, 시설과잉을 방지하며,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념은?
①
최대일률
②
서비스율
③
회전율
④
동시체재율
정답 : ② 서비스율 (2009년4회)
22.
「도시공원 및 독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구분하는 녹지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경관녹지
②
생산녹지
③
완충녹지
④
연결녹지
정답 : ② 생산녹지 (2019년4회)
23.
주차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평행주차는 주차 및 출입폭이 최소이므로 교통량이 많은 곳에 좋다.
②
직각주차는 도로폭이 넓은 곳이나 통과 교통이 없는 노외(路外)지역에 좋다.
③
60˚ 주차는 45˚ 주차보다 대당 소요면적이 넓다.
④
45˚ 주차는 직각 주차보다 토지이용도가 낮으나 차량 진출입이 용이하다.
정답 : ③ 60˚ 주차는 45˚ 주차보다 대당 소요면적이 넓다. (2009년4회)
24.
근린주구이론에 따라 1개의 근린생활권을 구성하려고 한다. 어린이공원은 몇 개소가 적정한가?
①
1개소
②
2개소
③
3개소
④
4개소
정답 : ④ 4개소 (2019년1회)
25.
문화재로서 해당 문화재가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며, 기타의 조건을 만족할 때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사적(국가지정문화재)으로 지정될 수 없는 유형은?
①
사당 등의 제사 · 장례에 관한 유적
②
우물 등의 산업 · 교통 · 주거생활에 관한 유적
③
서원 등의 교육 · 의료 · 종교에 관한 유적
④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른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곳 중 자연의 미관적으로 현저한 가치를 갖는 것
정답 : ④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른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곳 중 자연의 미관적으로 현저한 가치를 갖는 것 (2021년1회)
26.
생태적 결정론(ecological determinism)을 주장하여 조경 계획 및 설계에 있어 생태적 계획의 이론적 기초가 되도록 한 사람은?
①
Lawrece Halprin
②
Ian McHarg
③
J. O. Simonds
④
Robert Sommer
정답 : ② Ian McHarg (2010년2회)
27.
고속도로 휴게시설 계획에서 이용자 측면의 입지선정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시설의 식별성
②
인접지의 토지이용 형태
③
유지, 관리의 경제성
④
기상조건
정답 : ③ 유지, 관리의 경제성 (2011년1회)
28.
다음 중 아파트단지 내 울타리 차단방법이 아닌 것은?
①
차단용에 필요한 토지를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②
쉽게 설계, 시공되고 상품화될 수 있어야 한다.
③
다양한 높이와 형태로 지형에 적응될 수 있어야 한다.
④
어두운 재료를 사용할 때는 즉시 효과적인 차단이 필요한 경우이다.
정답 : ① 차단용에 필요한 토지를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2016년1회)
29.
다음 중 I, McHarg가 주로 사용해 정착된 적지 판정법은?
①
DGN method
②
motation method
③
image map method
④
overlay method
정답 : ④ overlay method (2014년1회)
30.
대상지역의 기후에 관한 조사는 계획구역이 속한 지역의 전반적인 기후에 관한 조사와 계획구역 내에 국한된 미기후에 관한 조사로 나누어진다. 다음 중 『미기후』에 관한 조사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강우량
②
태양열
③
공기유통
④
안개·서리 피해지역
정답 : ① 강우량 (2015년4회)
31.
「자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상 시·도지사 또는 지방 환경관서의 장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경관보전지역 등의 토지매수 실적” 보고는 연 몇 회를 기준으로 하는가?
①
수시
②
1회
③
2회
④
4회
정답 : ② 1회 (2022년1회)
32.
수요량 예측이 공간의 규모를 결정짓게 되는데, 반대로 계획의 규모가 수용량의 한계를 결정짓기도 한다. 수요량 산출 공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시계열 모델
②
중력 모델
③
요인분석 모델
④
혼합형 모델
정답 : ④ 혼합형 모델
(2017년1회)
(2017년1회)
33.
다음 중 레크레이션 계획의 접근 방법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자원형
②
심리형
③
행태형
④
혼합형
정답 : ② 심리형 (2018년4회)
34.
토지이용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계획구역내의 토지를 계획 · 설계의 기본목표 및 기본 구성에 부합되도록 구분하고 용도를 지정하는 것이다.
②
토지가 지니고 있는 본래의 잠재력이 기본적 고려사항이 된다.
③
이용행위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행위 상호간의 관련성에 따라서 토지이용이 구분된다.
④
적지분석은 토지의 잠재력과 사회적 수요에 기초하여 각 용도별로 행해지므로 동일지역이 몇 개의 용도에 적합한 경우는 없다.
정답 : ④ 적지분석은 토지의 잠재력과 사회적 수요에 기초하여 각 용도별로 행해지므로 동일지역이 몇 개의 용도에 적합한 경우는 없다. (2010년4회)
35.
다음 중 조경가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생태학과 자연과학을 기초로 하여 대규모 토지의 체계적 평가와 그에 대한 용도상의 적합도와 능력판단, 개발이나 토지이용의 배분계획, 고속도로의 위치결정, 공장의 입지, 수자원 및 토양의 보존, 쾌적성의 확보, 레크레이션 시설의 개발을 하는 것
②
식물의 생리적, 병리적 특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연구하며, 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
③
대지의 분석과 종합, 이용자분석에 의하여 여러 자연요소와 시설물들을 기능적 관계나 대지의 특성에 맞추어 배치하는 것
④
식재, 포장, 계단, 분수 등과 같은 한정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요소, 재료 혹은 수목들을 선정하여 시공을 위한 세부적인 설계로 발전시키는 것
정답 : ② 식물의 생리적, 병리적 특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연구하며, 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
(2016년4회)
(2016년4회)
36.
주택정원의 전정(前庭)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적분위기에서 사적분위기로 전이되는 공간이다.
②
주택의 첫 인상을 주는 곳이다.
③
입구로서의 특징을 강조할 수 있다.
④
대지가 협소하더라고 주정(主庭)의 일부가 될 수는 없다.
정답 : ④ 대지가 협소하더라고 주정(主庭)의 일부가 될 수는 없다. (2010년1회)
3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녹지를 그 기능에 따라 세분하고 있는데, 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완충녹지
②
연결녹지
③
경관녹지
④
보완녹지
정답 : ④ 보완녹지 (2021년4회)
38.
미국조경가협회(ASLA, 1974)가 채택한 조경의 정의 중에 속하는 내용은?
①
경관의 조성과 관리
②
문화적·과학적 지식의 활용
③
자원활용을 위한 토지의 개발
④
단지의 효율적 계획과 설계
정답 : ② 문화적·과학적 지식의 활용 (2016년1회)
39.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대상의 형태에 관련된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②
이용 효과면에서 투자 및 조사의 중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③
대상의 위치와 관련된 지도정보를 포함한다.
④
토지 및 지리에 관련된 제반 공개 자료를 이용자의 의도에 맞게 종합 처리한다.
정답 : ② 이용 효과면에서 투자 및 조사의 중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2015년1회)
40.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른 도시공원의 점용허가를 위한 구체적 기준이 틀린 것은?
①
경찰관파출소는 소공원에는 설치하지 아니할 것
②
전선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하에 설치할 것
③
경찰관파출소의 건축면적(연면적을 말한다)은 116 ㎡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④
변전소는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지상에 설치할 것
정답 : ③ 경찰관파출소의 건축면적(연면적을 말한다)은 116 ㎡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015년4회)
조경설계
41.
시각적 흡수능력(visual absorption)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혼효림은 단순림보다 시각적 흡수능력이 높다.
②
지형적으로 위요된 장소는 개방된 장소보다 시각적 흡수능력이 높다.
③
시각적 흡수능력이 높은 곳은 개발의 적지가 되지 못한다.
④
수목에 의하여 가려진 장소는 시각적 흡수능력이 높다.
정답 : ③ 시각적 흡수능력이 높은 곳은 개발의 적지가 되지 못한다. (2009년1회)
42.
시각적 선호에 관련된 변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물리적 변수 : 식생, 물, 지형
②
추상적 변수 : 복잡성, 조화성, 새로움
③
지역적 변수 : 위치, 거리, 규무
④
개인적 변수 : 개인의 나이, 학력, 성격
정답 : ③ 지역적 변수 : 위치, 거리, 규무
(2017년2회)
(2017년2회)
43.
조경설계기준상 조경구조물의 계획ㆍ설계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앉음벽은 휴게공간이나 보행공간의 가운데에 배치할 때는 주보행동선과 교차하게 배치한다.
②
앉음벽은 짧은 휴식에 적합한 재질과 마감 방법으로 설계하며, 앉음벽의 높이는 34~46cm로 한다.
③
장식벽은 경관적 목적을 위하여 수식이나 장식이 필요한 석축, 옹벽, 담장 등의 수직적 구조물의 표면에 부가ㆍ설치한다
④
울타리 및 담장은 단순한 경계표시 기능이 필요한 곳은 0.5m 이하의 높이로 설계한다.
정답 : ③ 장식벽은 경관적 목적을 위하여 수식이나 장식이 필요한 석축, 옹벽, 담장 등의 수직적 구조물의 표면에 부가ㆍ설치한다 (2020년3회)
44.
다음 중 균형과 관계있는 용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대칭
②
비대칭
③
점증
④
주도와 종속
정답 : ③ 점증 (2017년2회)
45.
수경시설의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수경시설은 적설, 동결, 바람 등 지역의 기후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②
물놀이를 전제로 한 수변공간(도섭지등)시설의 1일 물 순환횟수는 2회를 기준으로 한다.
③
장애물이 없는 개수로의 유량산출은 프란시스의 공식, 바진의 공식을 적용한다.
④
분수의 경우 수조의 너비는 분수 높이의 2배,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은 분수 높이의 4배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 : ③ 장애물이 없는 개수로의 유량산출은 프란시스의 공식, 바진의 공식을 적용한다.
(2017년2회)
(2017년2회)
46.
시각적 복잡성과 시각적 선호도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시각적 복잡성과 시각적 선호도는 아무 관계가 없다.
②
시각적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도도 증가한다.
③
시각적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도가 감소한다.
④
시각적 복잡성이 적절할 때 가장 높은 시각적 선호도를 나타낸다.
정답 : ④ 시각적 복잡성이 적절할 때 가장 높은 시각적 선호도를 나타낸다.
(2017년2회)
(2017년2회)
47.
일상생활에서 하나하나의 부분적 경관을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풍부한 연속적 경험을 줄 수 있도록 “연속적 경관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주로 연구한 학자가 아닌 것은?
①
틸(Thiel)
②
린치(Lynch)
③
할프란(Halprin)
④
아버니티와 노우(Abernathy & Noe)
정답 : ② 린치(Lynch) (2018년1회)
48.
경관의 형식은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인공경관)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자연경관에 속하는 것은?
①
평야경관
②
교외경관
③
경작지경관
④
취락경관
정답 : ① 평야경관 (2018년1회)
49.
다음 중 운율미(韻律美)의 표현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변화되는 색채
②
수관의 율동적인 선(線)
③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
④
질정한 간격을 두고 들려오는 소리
정답 : ③ 편평한 벽에 생긴 갈라진 틈 (2020년1회)
50.
설계과정에서 기본구상이 이루어진 다음 구체적인 세부설계에 도달하는데 이때 현실의 제약조건 때문에 기본구상과 계획이 또 다시 재검토되고 수정되면서 원래의 구상이 점차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구상계획
②
실시계획
③
계획의 평가
④
설계에서의 환류(Feed back)
정답 : ④ 설계에서의 환류(Feed back) (2009년4회)
51.
시인성(color visibility)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색채마다 고유한 시인성이 있다.
②
다른 용어로 명시성(明視性)이라도로 한다.
③
검정보다 하양의 바탕이 시인성이 더 높다.
④
위험 등을 알리는 교통표지판이나 안내물 등에는 시인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③ 검정보다 하양의 바탕이 시인성이 더 높다. (2019년2회)
52.
설계도면에서 파선의 사용 용도로 옳은 것은?
①
경계선
②
숨은선
③
상상선
④
치수보조선
정답 : ② 숨은선 (2015년1회)
53.
광장을 계획하는데 건물사이가 60m라 할 때 편안한 위요감(최소한의 폐쇄감)을 느낄 수 있는 양쪽 건물 높이는?
①
15m
②
20m
③
30m
④
60m
정답 : ② 20m (2016년4회)
54.
다음 [보기]의 ( )안에 적합한 값은?
[보기] 경사가 있는 보도교의 경우 종단 기울기가 ( )를 넘지 않도록 하며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을 거칠게 표면처리 하여야 한다. |
①
3%
②
5%
③
8%
④
15%
정답 : ③ 8% (2012년1회)
55.
다음 입체도를 제3각법 정투상도로 옳게 나타낸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④
(2020년3회)
56.
보도용 포장면의 설계와 관련된 설명 중 ㉠ ~ ㉣ 의 내용이 틀린 것은?
(1)종단기울기는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 ㉠ ) 이하로 한다. (2)종단기울기가 ( ㉡ )% 이상인 구간의 포장은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거친 면으로 마감처리 한다. (3)횡단경사는 배수처리가 가능한 방향으로 ( ㉢ )를 표준으로 한다. (4)투수성 포장인 경우에는 ( ㉣ )경사를 주지 않을 수 있다. |
①
㉠1/12
②
㉡5
③
㉢2%
④
㉣횡단
정답 : ① ㉠1/12 (2021년1회)
57.
다음 환경지각 이론 중에서 지원성(affordance)의 지각을 내용으로 하는 이론은?
①
형태심리 이론
②
장(場)의 이론
③
확률적 이론
④
생태적 이론
정답 : ④ 생태적 이론
(2017년2회)
(2017년2회)
58.
표제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도면명은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는다.
②
도면 제작에 필요한 지침을 기록한다.
③
범례는 표제란 안에 반드시 기입해야 한다.
④
도면번호, 작성자명, 작성일자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입한다.
정답 : ④ 도면번호, 작성자명, 작성일자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입한다. (2021년2회)
59.
조경설계에 사용되는 “삼각스케일”에 표기되어 있는 축척이 아닌 것은?
①
1/800
②
1/600
③
1/300
④
1/100
정답 : ① 1/800 (2017년4회)
60.
생태숲의 학습 및 관찰시설 설계요령으로 틀린 것은?
①
야생조류에서 관찰지까지의 거리는 20미터 정도면 탐방객의 관찰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②
관찰로를 단일코스로 하는 경우에는 루프형태로 하며 1.5km~5km의 길이로 설치한다.
③
적정노폭은 1.2m로 하되 최소 60cm(주변수목의 최소 개척폭 1.2m, 개척높이 2.1m)를 확보한다.
④
노선의 기울기가 30% 미만일 경우는 비포장으로 하며, 그 이상의 경사로는 통나무 등을 이용한 자연스런 계단식 보도를 설치한다.
정답 : ① 야생조류에서 관찰지까지의 거리는 20미터 정도면 탐방객의 관찰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2017년4회)
(2017년4회)
조경식재
61.
다음 중 활엽수로 가장 크게 자랄 수 있는 수종은?
①
Platanus occidentalis
②
Abies koreana
③
Cercis chinensis
④
Rosa rugosa
정답 : ① Platanus occidentalis (2012년1회)
62.
노거수의 공동(空胴) 치료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공동이 큰 경우 버팀대를 박고, 충전재를 채워 넣는다.
②
부폐한 목질부를 끌이나 칼 등을 이용하여 먼저 깨끗이 깎아 낸다.
③
공동의 충전재료는 콘크리트, 폴리우레탄, 펄라이트 등이 사용된다.
④
공사를 끝낸 후에 목질부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용 수지 등으로 이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처리해 준다.
정답 : ③ 공동의 충전재료는 콘크리트, 폴리우레탄, 펄라이트 등이 사용된다.
(2017년4회)
(2017년4회)
63.
다음 중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 수종은?
①
Magnolia sieboldii K. koch
②
Magnolia denudata Desr.
③
Magnolia obovata Thunb.
④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정답 : ② Magnolia denudata Desr. (2012년2회)
64.
다음 중 과(family)가 다른 수종은?
①
금송
②
측백나무
③
향나무
④
노간주나무
정답 : ① 금송 (2021년4회)
65.
정원공간의 안쪽을 멀고, 깊게 보이게 하는 방법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뒤쪽에 황록색(GY), 앞쪽에 청자색(PB)의 식물을 심는다.
②
뒤쪽에 후퇴색, 앞쪽에 진출색의 식물을 심는다.
③
뒤쪽에 질감(Texture)이 부드러운 수목을 앞쪽에 질감이 거친 것을 심는다.
④
뒤쪽에 키가 작은 나무를, 앞쪽에 키가 큰 나무를 심는다.
정답 : ① 뒤쪽에 황록색(GY), 앞쪽에 청자색(PB)의 식물을 심는다. (2019년2회)
66.
다음 중 줄기나 가지에 가시가 없는 수종은?
①
Chaenomeles speciosa
②
Pyracantha angustifolia
③
Quercus acutissima
④
Punica granatum
정답 : ③ Quercus acutissima (2015년1회)
67.
수목식재재로 얻을 수 있는 기능은 건축적, 공학적, 기상학적, 미적기능이 있다. 다음 중 공학적 기능이 아닌 것은?
①
토양침식의 조절
②
대기정화 작용
③
통행의 조절
④
온도조절 작용
정답 : ④ 온도조절 작용
(2017년4회)
(2017년4회)
68.
수형이 원추형인 것은?
①
Zelkova serrato
②
Sophora japonica
③
Platanus occidentalis
④
Abies holophylla
정답 : ④ Abies holophylla
(2018년2회)
(2018년2회)
69.
다음 중 지표(指標) 식재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존재 위치를 알려주는 것
②
바람이 부는 방향과 세기를 알리는 것
③
도로의 경관을 높이는 것
④
식물 생육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
정답 : ③ 도로의 경관을 높이는 것 (2014년2회)
70.
녹화와 식물군락에 대한 표본추출볍 중 큰 키 벼과식물이 있는 초원을 조사하려 할 때 적당한 조사구의 크기는?
①
100 ~ 400㎡
②
25 ~ 100㎡
③
4 ~ 25㎡
④
1 ~ 4㎡
정답 : ③ 4 ~ 25㎡ (2010년2회)
71.
고속도로에서 명암순응식재를 할 때 옳지 않은 것은?
①
터널 입구에 그늘을 만든다.
②
운전자의 시력 장애를 방지한다.
③
경관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명암을 교차해서 식재한다.
④
가급적 교목성의 수종을 많이 심어준다.
정답 : ③ 경관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명암을 교차해서 식재한다. (2009년4회)
72.
다음 Salix pseudolasiogyne H. Lev. 의 특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형은 하수형이다.
②
내공해성이 강하다.
③
이식이 용이하고, 한국이 원산지이다.
④
심근성이며, 자웅동주이다.
정답 : ④ 심근성이며, 자웅동주이다. (2010년1회)
73.
다음 ( )안에 적합한 용어는?
화단의 종류로서 ( A )는(은) 건물, 담장, 울타리를 배경으로 한 그 앞 쪽에다 장방형으로 길게 만들어진 화단을 말하며 ( B )는(은) 작은 면적의 잔디밭 가운데나 원로 주위의 공간에 만들어지는 화단으로서 가운데는 키가 큰 화초를 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키가 작은 화초를 심어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화단을 말한다. |
①
A : 경재화단, B : 카펫화단
②
A : 리본화단, B : 용기화단
③
A : 침상화단, B : 기식화단
④
A : 경재화단, B : 기식화단
정답 : ④ A : 경재화단, B : 기식화단 (2010년1회)
74.
옥상정원과 같은 인공지반 위에 식재할 경우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방수와 배수
②
미기후 조건
③
광선 및 습도
④
지반의 구조 및 강도
정답 : ③ 광선 및 습도
(2016년4회)
(2016년4회)
75.
다음 중 줄기가 적갈색(赤褐色)계의 색채를 나타내는 수종은?
①
Cedrus deodara Loudon
②
Myrica rubra Siebold & Zucc.
③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④
Firmiana simplex W. F. Wight
정답 : ③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2012년2회)
76.
수목을 차폐의 소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평가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차폐가 필요한 방향
②
차폐대상의 질감
③
관찰자의 위치 및 접근각도
④
차폐대상의 계절적 경관특성
정답 : ② 차폐대상의 질감 (2011년2회)
77.
다음 중 식재비탈면에 교목을 식재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기울기 조건은?
①
1 : 1.5
②
1 : 2
③
1 : 3
④
1 : 4
정답 : ④ 1 : 4 (2016년2회)
78.
다음 중 구상나무의 학명은?
①
Abies koreana
②
Abies nephrolepis
③
Abies holophylla
④
Cedrus deodara
정답 : ① Abies koreana (2016년1회)
79.
다음 특징에 해당되는 식물은?
- 잎이 장상복엽이다 - 그늘시렁에 올려 사계절 녹음을 볼 수 있음 |
①
덩굴장미(Rosa multifloravar. platyphylla)
②
멀꿀(Stauntonia hexaphylla)
③
등(Wisteria floribunda)
④
으름덩굴(Akebia quinata)
정답 : ② 멀꿀(Stauntonia hexaphylla) (2021년4회)
80.
도시의 철로 변 식생 중 자연적으로 이입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큰 수종은?
①
향나무
②
개나리
③
회양목
④
가죽나무
정답 : ④ 가죽나무
(2017년2회)
(2017년2회)
조경시공구조학
81.
실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산정한 단가를 발주기관별로 축적하여 유사공사 발주 시 예정가격 산정의 기준단가로 활용하는 적산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원가계산 적산방식
②
실적공사비 적산방식
③
거래가격 적산방식
④
기준단가 적산방식
정답 : ② 실적공사비 적산방식 (2009년4회)
82.
다음 배수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일정한 유수단면적에서 수리학상 유리한 단면이 되기 위해서는 경심이 최대로 되어야 한다.
②
배수관거의 유속은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작게 하는 것이 좋다.
③
강우 강도란 어떤 시간내에 내린 강우의 깊이를 말하고 단위는 ㎜/s로 나타낸다.
④
유출량과 유입량의 비를 유출계수라 한다.
정답 : ① 일정한 유수단면적에서 수리학상 유리한 단면이 되기 위해서는 경심이 최대로 되어야 한다. (2010년1회)
83.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축직교 하중은 부재상의 각 점에서 부재를 자르려고 하는데 이외력의 세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수직반력
②
전단력
③
압축응력
④
축력
정답 : ② 전단력 (2020년3회)
84.
목재의 강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벌목의 계절은 목재강도에 영향을 끼친다.
②
일반적으로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인 경우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작다.
③
목재의 건조는 중량을 경감시키지만 강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④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 감소에 따라 강도가 증대한다.
정답 : ③ 목재의 건조는 중량을 경감시키지만 강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2021년2회)
85.
대규모 자동 살수 관개조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살수기로 맞는 것은?
①
분무살수기
②
회전살수기
③
회전입상살수기
④
분류살수기
정답 : ③ 회전입상살수기 (2015년2회)
86.
모래의 전단력 차이에 의해 모래의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기 곤란한 경우 현지의 지반에서 직접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은?
①
전단시험
②
지내력시험
③
표준관입시험
④
베인테스트
정답 : ③ 표준관입시험 (2012년4회)
87.
목재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값을 얻었다. 함수율은 얼마인가?
- 시험편의 건조 전 중량 : 2.75㎏ - 시험편의 건조 후 중량 : 2.35㎏ |
①
15%
②
17%
③
19%
④
21%
정답 : ② 17% (2011년2회)
88.
목재 방부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표면탄화법
②
습식법
③
약제 주입법
④
약제 도포법
정답 : ② 습식법 (2017년2회)
89.
광파거리측정기 (Light Wave EDM)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종국과 주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경량이며, 작업이 신속하다.
③
움직이는 장애물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④
관측범위는 단거리용 5 ㎞ 이내, 중거리용 60 ㎞ 이내이다.
정답 : ① 종국과 주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1회)
90.
중력식 옹벽의 특징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구조물이 복잡하다.
②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형태이다.
③
3m 이내의 낮은 옹벽에 많이 쓰인다.
④
자중으로 토압에 저항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답 : ① 구조물이 복잡하다. (2015년2회)
91.
중력식 옹벽 구조물 설계시 다음과 같은 안정조건에 따라 설계되어야 하는데 그 내용이 틀린 것은?
①
옹벽에 작용하는 합력이 기부(基部)의 중앙 1/3 이내에 작용한다.
②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수평력의 1.5배 이상이다.
③
전도모멘트가 저항모멘트보다 크고, 안전율이 2.0 보다 커야 전도에 대해 안전성이 있다.
④
기부에 작용하는 압축력이 토양의 허용지내력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 : ③ 전도모멘트가 저항모멘트보다 크고, 안전율이 2.0 보다 커야 전도에 대해 안전성이 있다. (2009년2회)
92.
다음 중 공정의 상태, 관리의 계획을 수립할 때 특성과 요인관계를 일목요연하게 그린 것은?
①
Characteristics diagram
②
Pareto diagram
③
Histogram
④
관리도
정답 : ① Characteristics diagram (2015년1회)
93.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의 표준값 중 표면 형태가 『잔디, 수목이 많은 공원 』에 해당하는 계수 값은?
①
0.10~0.30
②
0.05~0.25
③
0.20~0.40
④
0.40~0.60
정답 : ② 0.05~0.25 (2018년4회)
94.
구조물의 종류별 콘크리트 타설시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구조물의 종류는 단면이 큰 경우로 제한한다.)
①
20
②
25
③
40
④
50
정답 : ③ 40 (2015년1회)
95.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크리티컬패스(CP, critical path)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1→2→4→6→7
②
1→3→5→6→7
③
1→2→5→6→7
④
1→3→4→6→7
정답 : ② 1→3→5→6→7 (2017년4회)
96.
표면유입시간 계산도표를 이용하여 우수의 유입시간을 계산하고자 한다. 다음 중 계산 시 고려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토성
②
경사도
③
최대흐름거리
④
지표면 토지이용
정답 : ① 토성 (2021년1회)
97.
0.7㎥ 용량의 유압식 백호우를 이용하여 작업상태가 양호한 자연상태의 사질토를 굴착 후 선회각도 90°로 덤프트럭에 적재하려 할 때 시간당 굴착작업량은? (단, 버킷계수는 1.1, L은 1.25, 1회 사이클 시간은 16초, 토질별 작업효율은 0.85이다.)
①
1.79㎥
②
3.07㎥
③
117.81㎥
④
184.08㎥
정답 : ③ 117.81㎥ (2019년2회)
98.
다음 중 배수능력이 가장 떨어지며 쉽게 막히기도 하지만 지표면에서 흡수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심토층 배수형태는?
①
오지토관
②
플륨관
③
맹암거
④
명거
정답 : ③ 맹암거 (2016년1회)
99.
공사방법에 있어서 전문 공사별, 공정별, 공구별로 도급을 주는 방법은?
①
분할도급
②
공동도급
③
일식도급
④
직영도급
정답 : ① 분할도급 (2012년1회)
100.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평균기온 20℃ 이상)을 사용한 경우 거푸집널의 애체 시기(기초, 보, 기둥 및 벽의 측면)로 옳은 것은? (단, 압축강도를 시험하지 않을 경우)
①
1일
②
2일
③
3일
④
4일
정답 : ③ 3일 (2020년1회)
조경관리
101.
낙엽송 가지끝마름병균(선고병)의 월동 형태는?
①
병자각
②
포자각
③
자낭각
④
균핵
정답 : ③ 자낭각 (2010년1회)
102.
토양의 가비중이 1.33일 때 공극율은 약 얼마인가?
(단, 토양의 진비중은 2.65 이다.)
(단, 토양의 진비중은 2.65 이다.)
①
30%
②
40%
③
50%
④
60%
정답 : ③ 50% (2011년4회)
103.
공사 현장에서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방지대책 중 정신적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적성 배치
②
스트레스 해소 대책
③
주의력 집중훈련
④
표준작업의 습관화
정답 : ④ 표준작업의 습관화 (2018년4회)
104.
지나치게 자라는 가지의 신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신초의 끝부분을 따버리는 작업은?
①
적아(摘芽)
②
적심(摘心)
③
전정(剪定)
④
적엽(摘葉)
정답 : ② 적심(摘心) (2009년4회)
105.
각종 운동경기장, 골프장의 Green, Tee 및 Fairway 등과 같이 집중적인 재배를 요하는 잔디 초지는 답압의 내구력과 피해로부터 빨리 회복되는 능력 등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잔디 초지류의 내구성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강한 것은?
①
Perennial ryegrass
②
Creeping bentgrass
③
Kentucky bluegrass
④
Tall fescue
정답 : ④ Tall fescue (2019년2회)
106.
목재에 사용되는 방부제의 성능 기준의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휘산성
②
흡습성
③
철부식성
④
침투성
정답 : ① 휘산성 (2022년1회)
107.
금속재 시설물의 부식이 가장 늦게 발생하는 곳은?
①
해안별장지대
②
산림 경계의 전원주택지
③
시가지나 공업지대
④
산악지의 스키장
정답 : ② 산림 경계의 전원주택지 (2009년1회)
108.
질산태질소 화합물에 산성비료를 배합하면 이 때의 반응은?
①
질산으로 휘발된다.
②
조해성이 증가된다.
③
암모니아로 휘발된다.
④
암모니아로 환원된다.
정답 : ① 질산으로 휘발된다. (2018년4회)
109.
소나무 재선충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요 매개충은 솔수염하늘소이다.
②
소나무재선충의 암컷 체장은 약 0.8 ~ 1.2㎜이다.
③
아바멕틴유제와 같은 살충제를 수간에 직접 주입하여 예방한다.
④
소나무재선충의 생활주기는 온도 20℃에서 6 ~ 7일로, 단기간 내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정답 : ④ 소나무재선충의 생활주기는 온도 20℃에서 6 ~ 7일로, 단기간 내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2010년1회)
110.
소나무 잎녹병에 있어서 여름포자(하포자)의 중간숙주가 되는 것은?
①
까치밥나무
②
황벽나무
③
잎갈나무
④
참나무류
정답 : ② 황벽나무 (2019년1회)
111.
다음 중 토양에서 질소기아 현상은 탄질비가 최소 얼마 이상일 때 일어나는가? (전항정답)
①
10
②
12
③
15
④
20
정답 : ① 10 (2014년4회)
112.
다음 중 모과나무에 발생되는 병이 아닌 것은?
①
붉은별무늬병
②
점무늬병
③
갈색무늬병
④
잎떨림병
정답 : ④ 잎떨림병 (2014년4회)
113.
미국흰불나방의 생태적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주로 활엽수를 가해한다.
②
성충은 1년에 1회만 발생한다.
③
수피사이, 판자 틈, 나무의 빈 공간에 형성한 고치를 수시로 채집하여 소각 한다.
④
8월 상순부터 유충이 부화하여 10월 상순까지 가해한 후 번데기가 되어 월동에 들어간다.
정답 : ② 성충은 1년에 1회만 발생한다. (2019년2회)
114.
다음 중 한국 잔디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생육적온은 10 ~ 20℃ 정도이다.
②
한국 원산의 숙근초로서 보통 들잔디라고도 부른다.
③
완전포복경으로 지하경이 왕성하게 뻗어 옆으로 기는 성질이 강하다.
④
5 ~ 6월에 개화하며, 6 ~ 7월에 결실하고, 지상부는 늦가을에 생육이 정지되면서 고사한다.
정답 : ① 생육적온은 10 ~ 20℃ 정도이다. (2014년1회)
115.
경제적 가해 수준(Economic injury level)이란?
①
해충에 의한 피해액이 방제비보다 큰 수준의 밀도
②
해충에 의한 피해액이 방제비보다 작은 수준의 밀도
③
해충에 의한 피해액과 방제비가 같은 수준의 밀도
④
해충에 의해 경제적으로 큰 가해를 주는 수준의 밀도
정답 : ③ 해충에 의한 피해액과 방제비가 같은 수준의 밀도 (2010년1회)
116.
원로나 광장을 아스팔트로 포장한 경우 내구 연수는 몇 년 인가?
①
5년
②
10년
③
15년
④
20년
정답 : ③ 15년 (2015년2회)
117.
잔디관리에 필요한 작업 중 [보기]의 설명은 무엇인가?
[보기] 표면 정리작업으로 균일하게 표면을 정리하여 부분적으로 습해와 건조의 해를 받지 않게 하는 목적 등 이용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작업이다. 종자파종 후, 경기 중 떠오른 토양을 눌러 줄 때, 봄철에 들뜬 상태의 토양을 눌러줌에 그 효과가 크다. |
①
레이킹(raking)
②
브러싱(brushing)
③
스파이킹(spiking)
④
롤링(rolling)
정답 : ④ 롤링(rolling) (2009년1회)
118.
소나무 재선충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월동 충태는?
①
알
②
유충
③
번데기
④
성충
정답 : ② 유충 (2011년2회)
119.
다음 재료들 중 표지판의 문자판 또는 지주로 적절하지 않은 재료는?
①
목재
②
석재
③
금속재
④
합성수지재
정답 : ④ 합성수지재 (2015년4회)
120.
주로 토양이나 풍화토로 된 곳으로 붕괴 우려가 적은 비탈면 표층부의 안정을 도모할 때 적용되는 공법은?
①
구조물에 의한 보호공
②
식생공
③
낙석방지공
④
배수공
정답 : ② 식생공 (2015년1회)
728x90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 필기 [0918]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9.18 |
---|---|
일반기계기사 필기 [0905]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9.05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기사(태양광) 필기 [0905] (0) | 2023.09.05 |
식품기사 필기 [0905]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9.05 |
소방설비기사[기계] 필기 [0901]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