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0911]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건설안전산업기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건설안전산업기사 시험과목은 " 산업안전관리론,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건설시공학, 건설재료학, 건설안전기술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건설안전산업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무작위)으로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동기부여의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상벌을 줄 것
②
경쟁과 협동을 유도할 것
③
결과의 지식을 알리지 않을 것
④
안전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것
정답 : ③ 결과의 지식을 알리지 않을 것 (2014년4회)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에 해당하는 방호장치는?
①
압력용기 압력방출용 파열관
②
가스집합 용접장치용 안전기
③
양중기용 과부하방지장치
④
방폭구조 전기기계 · 기구 및 부품
정답 : ② 가스집합 용접장치용 안전기 (2017년4회)
3.
다음 중 적성배치 시 작업자의 특성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①
연령
②
작업조건
③
태도
④
업무경력
정답 : ② 작업조건 (2019년4회)
4.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는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사업재해가 발생한 날부터 얼마 이내에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1일
②
7일
③
15일
④
1개월
정답 : ④ 1개월 (2012년1회)
5.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자신조차도 승인할 수 없는 욕구를 타인이나 사물로 전환시켜 바람직하지 못한 욕구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는 것 |
①
투사
②
합리화
③
보상
④
동일화
정답 : ① 투사 (2016년4회)
6.
모랄 서베이(Morale Survey)의 효용이 아닌 것은?
①
조직 또는 구성원의 성과를 비교ㆍ분석한다.
②
종업원의 정화(Catharsis)작용을 촉진시킨다.
③
경영관리를 개선하는 자료를 얻는다.
④
근로자의 심리 또는 욕구를 파악하여 불만을 해소하고, 노동의욕을 높인다.
정답 : ① 조직 또는 구성원의 성과를 비교ㆍ분석한다. (2018년2회)
7.
강도율이 1.5, 도수율이 2.0일 때 평균강도율은 얼마인가?
①
20
②
150
③
750
④
1333
정답 : ③ 750 (2013년4회)
8.
다음 중 스트레스(Stres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스트레스는 나쁜 일에서만 발생한다.
②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측면만 가지고 있다.
③
스트레스는 직무몰입과 생산성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④
스트레스는 상황에 직면하는 기회가 많을수록 스트레스 발생 가능성은 낮아진다.
정답 : ③ 스트레스는 직무몰입과 생산성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2019년1회)
9.
안전교육 훈련의 기법 중 하버드 학파의 5단계 교수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①
총괄 → 연합 → 준비 → 교시 → 응용
②
준비 → 교시 → 연합 → 총괄 → 응용
③
교시 → 준비 → 연합 → 응용 → 총괄
④
응용 → 연합 → 교시 → 준비 → 총괄
정답 : ② 준비 → 교시 → 연합 → 총괄 → 응용 (2018년2회)
10.
인간의 착각현상 중 버스나 전동차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자신이 승차하고 있는 정지된 차량이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 현상은?
①
자동운동
②
유도운동
③
가현운동
④
플리커현상
정답 : ② 유도운동 (2017년2회)
11.
과거에 경험하였던 것과 비슷한 상태에 부딪쳤을 때 떠오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재생
②
기명
③
파지
④
재인
정답 : ④ 재인 (2015년1회)
12.
다음 중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해당 사업장에서 사업을 실질적으로 총괄관리 하는 자이다.
②
해당 사업장의 안전교육 계획을 수립 및 실시한다.
③
선임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지체 없이 선임하고 지정하여야 한다.
④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를 지휘, 감독하는 책임을 가진다.
정답 : ② 해당 사업장의 안전교육 계획을 수립 및 실시한다. (2012년1회)
13.
하버드 학파의 5단계 교수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교시(Presentation)
②
연합(Association)
③
추론(Reasoning)
④
총괄(Generalization)
정답 : ③ 추론(Reasoning) (2016년1회)
14.
안전점검 시 점검자가 갖추어야 할 태도 및 마음가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점검 본래의 취지 준수
②
점검 대상 부서의 협조
③
모범적인 점검자의 자세
④
점검결과 통보 생략
정답 : ④ 점검결과 통보 생략 (2015년4회)
15.
태풍, 지진 등의 천재지변이 발생한 경우나 이상상태 발생 시 기능상 이상 유·무에 대한 안전점검의 종류는?
①
일상점검
②
정기점검
③
수시점검
④
특별점검
정답 : ④ 특별점검 (2020년3회)
16.
1000명 이상의 대규모 기업의 효율적이며 안전스탭이 안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라인의 관리감독자에게도 안전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부여되는 조직의 형태는?
①
라인 방식
②
스탭 방식
③
라인-스탭방식
④
인간-기계방식
정답 : ③ 라인-스탭방식 (2019년4회)
17.
Alderfer의 ERG 이론 중 생존(Existence)욕구에 해당되 는 Maslow의 욕구단계는?
①
자아실현의 욕구
②
존경의 욕구
③
사회적 욕구
④
생리적 욕구
정답 : ④ 생리적 욕구 (2015년1회)
18.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 중 채용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①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②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③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④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정답 : ①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2011년1회)
19.
어느 공장의 재해율을 조사한 결과 도수율이 20이고, 강도율 1.2로 나타났다. 이 공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입사부터 정년퇴직할 때까지 예상되는 재해건수(a)와 이로 인한 근로손실 일수(b)는? (단, 이 공장의 1인당 입사부터 정년퇴직 할 때까지 평균 근로시간은 100000시간으로 한다.)
①
a = 20, b= 1.2
②
a= 2, b= 120
③
a = 20, b= 0.12
④
a= 120, b = 2
정답 : ② a= 2, b= 120 (2017년2회)
20.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로자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초정밀작업 : 700럭스 이상
②
정밀작업 : 500럭스 이상
③
보통작업 : 150럭스 이상
④
기타작업 : 50럭스 이상
정답 : ③ 보통작업 : 150럭스 이상 (2011년2회)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인간이 느끼는 소리의 높고 낮은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은?
①
음압
②
주파수
③
지속시간
④
명료도
정답 : ② 주파수 (2018년4회)
22.
조정장치를 15mm 움직였을 때, 표시계기의 지침이 25mm 움직였다면 이 기기의 C/R비는?
①
0.4
②
0.5
③
0.6
④
0.7
정답 : ③ 0.6 (2018년4회)
23.
고열환경에서 심한 육체노동 후에 탈수와 체내 염분농도 부족으로 근육의 수축이 격렬하게 일어나는 장해는?
①
열경련(heat cramp)
②
열사병(heat stroke)
③
열쇠약(heat prostration)
④
열피로(heat exhaustion)
정답 : ① 열경련(heat cramp) (2015년1회)
24.
어떤 공장에서 10000시간 동안 15000개의 부품을 생산 하였을 때 설비고장으로 인하여 15개의 불량품이 발생하였다면 평균고장간격(MTBF)은 얼마인가?
①
1 ˟106 시간
②
2 ˟106 시간
③
1 ˟107 시간
④
2 ˟107 시간
정답 : ③ 1 ˟107 시간 (2015년2회)
2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설비 보전 방식은?
설비를 항상 정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정기적인 검사와 초기의 단계에서 성능의 저하나 고장을 제거하거나 조정(調整) 또는 수복(修復)하기 위한 설비의 보수 활동을 의미한다. |
①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
②
보전예방(maintenance prevention)
③
개량보전(corrective maintenance)
④
사후보전(Break-down maintenance)
정답 : ①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 (2012년4회)
26.
FT작성 시 논리게이트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OR 게이트
②
억제 게이트
③
AND게이트
④
동등 게이트
정답 : ④ 동등 게이트 (2017년2회)
27.
일반적으로 연구조사에 사용되는 기준 중 기준척도의 신뢰성이 의미하는 것은?
①
보편성
②
적절성
③
반복성
④
객관성
정답 : ③ 반복성 (2015년1회)
28.
조종장치의 촉각적 암호화를 위하여 고려하는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형상
②
무게
③
크기
④
표면 촉감
정답 : ② 무게 (2020년3회)
29.
위험조정을 위해 필요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위험보류(retention)
②
위험감축(reduction)
③
위험회피(avoidance)
④
위험확인(confirmation)
정답 : ④ 위험확인(confirmation) (2017년4회)
30.
다음 중 FTA 기법의 절차로 옳은 것은?
①
시스템의 정의 → FT작성 → 정성적평가 → 정량적평가
②
시스템의 정의 → FT작성 → 정량적평가 → 정성적평가
③
시스템의 정의 → 정성적평가 → FT작성 → 정량적평가
④
시스템의 정의 → 정량적평가 → FT작성 → 정성적평가
정답 : ① 시스템의 정의 → FT작성 → 정성적평가 → 정량적평가 (2011년4회)
31.
다음 중 지침이 고정되어 있고 눈금이 움직이는 형태의 정량적 표시장치는?
①
정목동침형 표시장치
②
정침동목형 표시장치
③
계수형 표시장치
④
점멸형 표시장치
정답 : ② 정침동목형 표시장치 (2012년2회)
32.
아날로그(Analog) 표시장치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눈금의 증가는 시계 반대방항이 적합하다.
②
일반적으로 고정눈금에서 지침이 움직이는 것이 좋다.
③
온도계나 고도계에 사용되는 눈금이나 지핌은 수평표시가 바람직하다.
④
이동요소의 수동조절이 필요할 때에는 지침보다 눈금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② 일반적으로 고정눈금에서 지침이 움직이는 것이 좋다. (2016년4회)
33.
FT도에서 정상사상 A의 발생확률은? (단, 기본사상 ①과 ②의 발생확률은 각각 2×10-3/h, 3×10-2 /h 이다.)
①
5×10-5/h
②
6×10-5/h
③
5×10-6/h
④
6×10-6/h
정답 : ② 6×10-5/h (2015년2회)
34.
다음 중 조작자와 제어버튼 사이의 거리, 조작에 필요한 힘 등을 정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인체측정자료 응용원칙은?
①
평균치 설계원칙
②
최대치 설계원칙
③
최소치 설계원칙
④
조절식 설계원칙
정답 : ③ 최소치 설계원칙 (2012년2회)
35.
인간-기계 시스템의 구성요소에서 다음 중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가장 낮은 요소는? (단, 관련 요건은 동일하다는 가정이다.)
①
수공구
②
작업자
③
조종장치
④
표시장치
정답 : ② 작업자 (2013년1회)
36.
시스템 수명주기(Life Cucle) 단계에서 운용단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설계변경 검토
②
교육 훈련의 진행
③
안전담당자의 사고조사 참여
④
최종 생산물의 수용여부 결정
정답 : ④ 최종 생산물의 수용여부 결정 (2018년4회)
37.
FT도에서 사용하는 기호나 게이트 중 입력현상이 발생하여 어떤 일정시간이 지속된 후 출력이 발생하는 것은?
①
조합AND게이트
②
위험 지속 기호
③
시간 단축 기호
④
억제 게이트
정답 : ② 위험 지속 기호 (2011년4회)
38.
다음 중 시스템 안전성 평가의 순서를 가장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자료의 정리 → 정량적 평가 → 정성적 평가 → 대책 수립 → 재평가
②
자료의 정리 → 정성적 평가 → 정량적 평가 → 재평가 → 대책 수립
③
자료의 정리 → 정량적 평가 → 정성적 평가 → 재평가 → 대책 수립
④
자료의 정리 → 정성적 평가 → 정량적 평가 → 대책 수립 → 재평가
정답 : ④ 자료의 정리 → 정성적 평가 → 정량적 평가 → 대책 수립 → 재평가 (2016년1회)
39.
소음이 심한 기계로부터 1.5m 떨어진 곳의 음압수준이 100dB라면 이 기계로부터 5m 떨어진 곳의 음압수준은 약 얼마인가?
①
85dB
②
90dB
③
96dB
④
102dB
정답 : ② 90dB (2016년4회)
40.
정보 전달용 표시장치에서 청각적 표현이 좋은 경우가 아닌 것은?
①
메시지 복잡하다.
②
시각장치가 지나치게 많다.
③
즉각적인 행동이 요구된다.
④
메시지가 그 때의 사건을 다룬다.
정답 : ① 메시지 복잡하다. (2017년2회)
건설시공학
41.
주로 이음이 필요한 지중보 등에서 특수 리브라스(Rib Lath)와 목재 프레임을 부속철물로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거푸집 해체작업이 필요 없는 공법은?
①
터널 폼
②
메탈라스 폼
③
슬라이딩 폼
④
플라잉 폼
정답 : ② 메탈라스 폼 (2016년4회)
42.
혼화제인 AE제를 콘크리트 비빔할 때 투입했을 경우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AE제에 의한 공기량은 기계비빔이 손비빔보다 증가한다.
②
AE제에 의한 공기량은 진동을 주면 감소한다.
③
AE제에 의한 공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④
AE제에 의한 공기량은 자갈의 입도에는 거의 영향이 없고, 잔골재의 입도에는 영향이 크다.
정답 : ③ AE제에 의한 공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2012년4회)
43.
건설공사 원자 구성체계 중 직접공사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자재비
②
일반관리비
③
경비
④
노무비
정답 : ② 일반관리비 (2018년4회)
44.
다음 용접방식 중 용접기구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①
아크 수동용접
②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③
가스 압접
④
필렛 용접
정답 : ④ 필렛 용접 (2013년1회)
45.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이음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일한 곳에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이어야 한다.
②
이음의 위치는 응력이 큰 곳을 피하고 엇갈리게 잇는다.
③
주근의 이음은 인장력이 가장 작은 곳에 두어야 한다.
④
지름이 다른 주근을 잇는 경우에는 작은 주근의 지름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 : ① 동일한 곳에 철근 수의 반 이상을 이어야 한다. (2011년4회)
46.
지하수가 많은 지반을 탈수하여 건조한 지반으로 개량하기 위한 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생석회말뚝(Chemico pile) 공법
②
페이퍼드레인(Paper drain)공법
③
잭파일(Jacked pile)공법
④
샌드드레인(Sand drain)공법
정답 : ③ 잭파일(Jacked pile)공법 (2014년4회)
47.
철골조립 및 설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계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진폴(Gin-pole)
②
윈치(Winch)
③
타워크레인(Tower crane)
④
리버스 서큘레이션 드릴(Reverse circulation drill)
정답 : ④ 리버스 서큘레이션 드릴(Reverse circulation drill) (2014년4회)
48.
점토질 지반에서 지반개량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연약지반 강화
②
예민비 개선
③
부등침하 방지
④
지반의 지지력 증대
정답 : ② 예민비 개선 (2011년4회)
49.
용접 착수전 검사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트임새 모양
②
모아대기법
③
운봉
④
구속법
정답 : ③ 운봉 (2014년4회)
50.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콘크리트의 측압
②
콘크리트 타설 시의 하중
③
콘크리트 타설 시의 충격과 진동
④
콘크리트의 강도
정답 : ④ 콘크리트의 강도 (2016년4회)
51.
기성콘크리트 말뚝을 타설할 때 그 중심간격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말뚝머리지름의 1.5배 이상 또한 750mm 이상
②
말뚝머리지름의 1.5배 이상 또한 1000mm 이상
③
말뚝머리지름의 2.5배 이상 또한 750mm 이상
④
말뚝머리지름의 2.5배 이상 또한 1000mm 이상
정답 : ③ 말뚝머리지름의 2.5배 이상 또한 750mm 이상 (2020년3회)
52.
다음 중 철골세우기용 기계설비가 아닌 것은?
①
가이데릭
②
스티프레그데릭
③
진폴
④
드래그라인
정답 : ④ 드래그라인 (2011년4회)
53.
공동도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각 회사의 소요자금이 경감되므로 소자본으로 대규모 공사를 수급할 수 있다.
②
각 회사가 위험을 분산하여 부담하게 된다.
③
상호기술의 확충을 통해 기술축적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④
신기술, 신공법의 적용이 불리하다.
정답 : ④ 신기술, 신공법의 적용이 불리하다. (2020년3회)
54.
철골용접 부위의 비파괴검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사선검사는 필름의 밀착성이 좋지 않은 건축물에서는 검출이 어렵다.
②
침투탐상검사는 액체의 모세관현상을 이용한다.
③
초음파탐상검사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20kHz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이용한다.
④
외관검사는 용접을 한 용접공이나 용접관리 기술자가 한다.
정답 : ③ 초음파탐상검사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20kHz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이용한다. (2011년2회)
55.
철근보관 및 취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근고임대 및 간격재는 습기방지를 위하여 직사일광을 받는 곳에 저장한다.
②
철근저장은 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가 잘되는 곳이어야 한다.
③
철근저장 시 철근의 종별, 규격별, 길이별로 적재한다.
④
저장장소가 바닷가 해안 근처일 경우에는 창고 속에 보관하도록 한다.
정답 : ① 철근고임대 및 간격재는 습기방지를 위하여 직사일광을 받는 곳에 저장한다. (2016년1회)
56.
철근콘크리트 공사 시 철근의 정착위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벽철근은 기둥 보 또는 바닥판에 정착한다.
②
바닥철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③
큰보의 주근은 기둥에, 작은보의 주근은 큰보에 정착한다.
④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정답 : ② 바닥철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2019년4회)
57.
지하 4층 상가건물 터파기공사 시 흙막이 오픈컷 방식을 적용하고 지보공 없이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기계화 시공을 실시하여 공기단축을 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공법은?
①
비탈지운 오픈컷공법
②
자립공법
③
버팀대공법
④
어스앵커공법
정답 : ④ 어스앵커공법 (2016년1회)
58.
일정한 지속하중에 있는 콘크리트가 하중은 변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변형이 점차 증가하는 현상은?
①
크리프 현상
②
블리딩 현상
③
중성화 현상
④
레이턴스 현상
정답 : ① 크리프 현상 (2013년2회)
59.
지반개량공법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탈수다짐법
②
치환법
③
표준관입시험법
④
약액주입법
정답 : ③ 표준관입시험법 (2014년1회)
60.
정액도급 계약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경쟁입찰로 공사비가 저렴하다.
②
건축주와의 의견조정이 용이하다.
③
공사설계변경에 따른 도급액 증강이 곤란하다.
④
이윤관계로 공사가 조잡해질 우려가 있다.
정답 : ② 건축주와의 의견조정이 용이하다. (2014년4회)
건설재료학
61.
금속의 종류 중 아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장강도나 연신율이 낮은 편이다.
②
이온화 경항이 크고, 구리 등에 의해 침식된다.
③
아연은 수중에서 부식이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④
철판의 아연도금에 널리 사용된다.
정답 : ③ 아연은 수중에서 부식이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2016년4회)
62.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pH가 5.0 정도의 산성인 콘크리트가 pH 7.0 정도의 중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②
콘크리트의 중성화는 주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침투에 기인하는 것이다.
③
중성화가 진행되어도 콘크리트의 강도는 거의 변화가 없으나, 중성화되면 철근이 부식하기 쉽게 된다.
④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물시멘트비, 시멘트의 골재의 종류, 혼화재료의 사용유무 등이 있다.
정답 : ① pH가 5.0 정도의 산성인 콘크리트가 pH 7.0 정도의 중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2011년1회)
63.
건물의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리면 등의 완충재를 바닥공간 사이에 넣는다.
②
부드러운 표면마감재를 사용하여 충격력을 작게 한다.
③
바닥을 띄우는 이중바닥으로 한다.
④
바닥슬래브의 중량을 작게 한다.
정답 : ④ 바닥슬래브의 중량을 작게 한다. (2014년4회)
64.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축이 작고 화학저항성이 일반적으로 크다.
②
매스콘크리트 등에 사용된다.
③
단기강도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보다 낮다.
④
긴급공사, 동절기 공사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④ 긴급공사, 동절기 공사에 주로 사용된다. (2017년1회)
65.
도막의 일부가 하지로부터 부풀어 지름이 10mm되는 것부터 좁쌀 크기 또는 미세한 수포가 발생하는 도막결함은?
①
백화
②
변색
③
부풀음
④
번짐
정답 : ③ 부풀음 (2018년1회)
66.
돌붙임공법 중에서 석재를 미리 붙여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①
조적공법
②
앵커긴결공법
③
GPC공법
④
강재트러스 지지공법
정답 : ③ GPC공법 (2020년3회)
67.
KS F 3211(건설용 도막방수재)에서 주요 원료에 따른 방수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우레탄 고무계 방수재
②
아크릴 고무계 방수재
③
에폭시 수자계 방수재
④
고무 아스팔트계 방수재
정답 : ③ 에폭시 수자계 방수재 (2012년1회)
68.
철골부재로 쓰이는 형강은 주로 어떤 방법으로 제조하는가?
①
인발법
②
단조법
③
주조법
④
압연법
정답 : ④ 압연법 (2013년2회)
69.
미장재료인 회반죽을 혼합할 때 소석회와 사용되는 것은?
①
카세인
②
아교
③
목섬유
④
해초풀
정답 : ④ 해초풀 (2017년2회)
70.
아스팔트는 온도에 의한 반죽질기가 현저하게 변화하는데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쉬운 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감온성
②
침입도
③
신도
④
연화성
정답 : ① 감온성 (2014년2회)
71.
P.S.콘크리트 부재 제작 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시키기 위해 개발된 시멘트는?
①
제트 시멘트
②
알루미나 시멘트
③
인산 시멘트
④
팽창 시멘트
정답 : ④ 팽창 시멘트 (2013년1회)
72.
목면ㆍ마사ㆍ양모ㆍ폐지 등을 원료로 하여 만든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가열ㆍ용융하여 충분히 흡수시켜 만든 방수지로 주로 아스팔트 방수 중간층재로 이용되는 것은?
①
콜타르
②
아스팔트 프라이머
③
아스팔트 펠트
④
합성 고분자 루핑
정답 : ③ 아스팔트 펠트 (2018년4회)
73.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AE감수제의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단위수량 감소
②
단위시멘트량 감소
③
시공연도 개선
④
단열성 향상
정답 : ④ 단열성 향상 (2011년4회)
74.
ALC 제품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흡수성이 크다.
②
단열성이 크다.
③
경량으로서 시공이 용이하다.
④
강알칼리성이며 변형과 균열의 위험이 크다.
정답 : ④ 강알칼리성이며 변형과 균열의 위험이 크다. (2018년4회)
75.
콘크리트의 블리딩 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가 클수록 블리딩은 증대한다.
②
AE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하여 블리딩 현상이 적다.
③
블리딩 현상에 의해 떠오른 미립물은 상호간 접착력을 증대시킨다.
④
콘크리트 면이 침하되어 콘크리트 균열의 원인이 된다.
정답 : ③ 블리딩 현상에 의해 떠오른 미립물은 상호간 접착력을 증대시킨다. (2017년1회)
76.
재료의 열에 관한 성질 중 ‘재료 표면에서의 열전달→재료 속에서의 열전도→재료 표면에서의 열 전달’과 같은 열이동을 나타내는 용어는?
①
열용량
②
열관류
③
비열
④
열팽창계수
정답 : ② 열관류 (2016년4회)
77.
테라코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도토, 자토 등을 반죽하여 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소성한 속이 빈 대형의 점토제품이다.
②
석재보다 가볍다.
③
압축강도는 화강암과 거의 비슷하다.
④
화강암보다 내화도가 높으며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다.
정답 : ③ 압축강도는 화강암과 거의 비슷하다. (2015년2회)
78.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했을 때 고로(高爐)시멘트의 일반적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내열성이 크고 수밀성이 양호하다.
②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하다.
③
초기강도가 크다.
④
해수(海水)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정답 : ③ 초기강도가 크다. (2012년1회)
79.
도료의 사용부위별 페인트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재면-목재용 래커 페인트
②
모르타르면-실리콘 페인트
③
외부 철재구조물-조합페인트
④
내부 철재구조물-수성페인트
정답 : ④ 내부 철재구조물-수성페인트 (2018년4회)
80.
수분 상승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올라 얇은 피막으로 되어 침적한 물질은?
①
레인턴스
②
폴리머
③
마그네시아
④
포졸란
정답 : ① 레인턴스 (2017년4회)
건설안전기술
81.
옥내사업장에는 비상시에 근로자에게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경보용 설비 또는 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연면적이 400m2 이거나 상시 4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②
연면적이 400m2 이거나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③
연면적이 500m2 이거나 상시 4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④
연면적이 500m2 이거나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정답 : ② 연면적이 400m2 이거나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2011년4회)
82.
작업조건에 알맞은 보호구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①
안전대 :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
②
보안면 :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③
안전화 : 물체의 낙하ㆍ충격, 물체에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帶電)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④
방열복 : 고열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
정답 : ① 안전대 :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 (2013년2회)
83.
다음의 철골작업에서의 승강로 설치기준 중 ( )안에 알맞은 숫자는?
사업주는 근로자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철골부재에는 답단간격이 ( )센티미터 이내인 고정된 승강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
①
20
②
30
③
40
④
50
정답 : ② 30 (2011년2회)
84.
건설용 리프트에 대하여 바람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는 조치를 한다고 할 때 그 기준이 되는 최소 풍속은?
①
순간 풍속 30m/s 초과
②
순간 풍속 35m/s 초과
③
순간 풍속 40m/s 초과
④
순간 풍속 45m/s 초과
정답 : ② 순간 풍속 35m/s 초과 (2011년4회)
85.
철공공사의 용접, 용단작업에 사용되는 가스의 용기는 최대 몇 ℃ 이하로 보존해야 하는가?
①
25℃
②
36℃
③
40℃
④
48℃
정답 : ③ 40℃ (2016년1회)
86.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습윤 양생
②
건조 양생
③
증기 양생
④
전기 양생
정답 : ② 건조 양생 (2016년1회)
87.
차량계 건설기계 중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아스팔트 살포기
②
아스팔트 피니셔
③
콘크리트 피니셔
④
어스오거
정답 : ④ 어스오거 (2017년4회)
88.
건설현장에서 가설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하는 경우 안전율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①
3
②
4
③
5
④
6
정답 : ② 4 (2019년4회)
89.
도심지에서 주변에 주요시설물이 있을 때 침하와 변위를 적게 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흙막이 공법은?
①
동결공법
②
샌드드레인공법
③
지하연속벽공법
④
뉴매틱케이슨공법
정답 : ③ 지하연속벽공법 (2018년1회)
90.
철근을 인력으로 운반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긴 철근은 2인 1조가 되어 어깨메기로 하여 운반한다.
②
긴 철근을 부득이 1인이 운반할 때는 철근의 한쪽을 어깨에 메고 다른 한쪽 끝을 땅에 끌면서 운반한다.
③
1인이 1회에 운반할 수 있는 적당한 무게한도는 운반자의 몸무게 정도이다.
④
운반시에는 항상 양끝을 묶어 운반한다.
정답 : ③ 1인이 1회에 운반할 수 있는 적당한 무게한도는 운반자의 몸무게 정도이다. (2011년1회)
91.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의 작업계획서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①
추락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②
낙하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③
전도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④
위험물 누출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정답 : ④ 위험물 누출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 (2018년2회)
92.
정기안전점검 결과 건설공사의 물리적·기능적 결함 등이 발견되어 보수·보강 등의 조치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실시하는 것은?
①
자체안전점검
②
정밀안전점검
③
상시안전점검
④
품질관리점검
정답 : ② 정밀안전점검 (2019년2회)
93.
건설작업용 리프트에 대하여 강풍이 불어올 우려가 있는때에는 붕괴 방지를 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데 이때의 순간풍속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매 초당 25m를 초과
②
매 초당 30m를 초과
③
매 초당 35m를 초과
④
매 초당 40m를 초과
정답 : ③ 매 초당 35m를 초과 (2013년4회)
94.
산소결핍에 의한 재해의 예방대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작업시작 전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②
공기호흡기 등의 필요한 보호구를 작업 전에 점검한다.
③
승인받은 밀폐공간이 아니면 절대 들어가서는 안된다.
④
산소결핍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산소농도가 10%이상 유지되도록 한다.
정답 : ④ 산소결핍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산소농도가 10%이상 유지되도록 한다. (2015년4회)
95.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주부재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장치를 할 것
②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는 85° 이하로 할 것
③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cm 이상으로 할 것
④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정답 : ②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는 85° 이하로 할 것 (2019년1회)
96.
버팀대(Strut)의 축하중 변화상태를 측정하는 계측기는?
①
경사계(Inclino meter)
②
수위계(Water level meter)
③
침하계(Extension)
④
하중계(Load cell)
정답 : ④ 하중계(Load cell) (2017년1회)
97.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공사의 규모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 건설등 공사
②
다목적댐, 발전용댐 및 저수용량 2천만톤
③
깊이 12m 이상인 굴착공사
④
터널 건설등의 공사
정답 : ③ 깊이 12m 이상인 굴착공사 (2018년4회)
98.
강관비계를 설치할 때 첫 번째 띠장의 높이는 지상으로 부터 얼마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1.5m 이하
②
2m 이하
③
3m 이하
④
4m 이하
정답 : ② 2m 이하 (2013년4회)
99.
지반조사의 방법 중 지반을 강관으로 천공하고 토사를 채취 후 여러 가지 시험을 시행하여 지반의 토질 분포, 흙의 층상과 구성 등을 알 수 있는 것은?
①
보링
②
표준관입시험
③
베인테스트
④
평판재하시험
정답 : ① 보링 (2019년1회)
100.
항타기 및 항발기를 조립하는 경우 점검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과부하장치 및 제동장치의 이상 유무
②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쐐기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③
본체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
④
권상기의 설치상태의 이상 유무
정답 : ① 과부하장치 및 제동장치의 이상 유무 (2020년3회)
728x90
'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0918]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9.18 |
---|---|
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0911] 기출문제 모의고사 (1) | 2023.09.11 |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0821] 기출문제 모의고사 (1) | 2023.08.21 |
조경산업기사 필기 [0531]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5.31 |
전기산업기사 필기 [0531]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