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0530]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건설안전산업기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건설안전산업기사 시험과목은 " 산업안전관리론,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건설시공학, 건설재료학, 건설안전기술 " 총 5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손실발생의 원칙
 
원인계기의 원칙
 
예방가능의 원칙
 
대책선정의 원칙
 

정답 : ① 손실발생의 원칙 (2012년4회)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재해 조사표에 기록되어야 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업장 정보
 
재해정보
 
재해발생개요 및 원인
 
안전교육 계획
 

정답 : ④ 안전교육 계획 (2019년2회)
3. 
하인리히의 재해발생 원인 도미노이론에서 사고의 직접원인으로 옳은 것은?
 
통제의 부족
 
관리 구조의 부적절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
 
유전과 환경적 영향
 

정답 : ③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 (2019년2회)
4. 
하인리히의 사고방지 5단계 중 제1단계 안전조직의 내용이 아닌 것은?
 
경영자의 안전목표 설정
 
안전관리자의 선임
 
안전활동의 방침 및 계획수립
 
안전회의 및 토의
 

정답 : ④ 안전회의 및 토의 (2017년2회)
5. 
다음 중 교육훈련의 학습을 극대화시키고, 개인의 능력 개발을 극대화시켜 주는 평가방법이 아닌 것은?
 
관찰법
 
배제법
 
자료분석법
 
상호평가법
 

정답 : ② 배제법 (2014년1회)
6. 
자신의 약점이나 무능력, 열등감을 위장하여 유리하게 보호함으로써 안정감을 찾으려는 방어적 적응기제에 해당하는 것은?
 
보상
 
고립
 
퇴행
 
억압
 

정답 : ① 보상 (2016년2회)
7. 
다음 중 인간의 행동 변화에 있어 가장 변화시키기 어려운 것은?
 
지식의 변화
 
집단의 행동 변화
 
개인의 태도 변화
 
개인의 행동 변화
 

정답 : ② 집단의 행동 변화 (2015년2회)
8. 
파블로프(Pavlov)의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이론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일관성의 원리
 
시간의 원리
 
강도의 원리
 
준비성의 원리
 

정답 : ④ 준비성의 원리 (2019년4회)
9. 
다음 중 기계적 위험에서 위험의 종류와 사고의 형태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접촉적 위험 - 충돌
 
물리적 위험 - 협착
 
작업 방법적 위험 - 전도
 
구조적 위험 - 이상온도 노출
 

정답 : ③ 작업 방법적 위험 - 전도 (2012년2회)
10. 
레빈(Lewin)은 인간행동과 인간의 조건 및 환경조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표시하였다. 이 때 “f"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B = f(P · E)
 
행동
 
조명
 
지능
 
함수
 

정답 : ④ 함수 (2012년1회)
11. 
다음 중 안전태도 교육의 기본 과정에 있어 마지막 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
 
권장한다.
 
모범을 보인다.
 
이해시킨다.
 
청취한다.
 

정답 : ① 권장한다. (2012년2회)
12. 
안전관리자가 안전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안전퀴즈 대회를 열어 우승자에게 상을 주었다면 이는 어떤 학습원리를 학습자에게 적용한 것인가?
 
Thorndike의 “연습의 법칙”
 
Thorndike의 “준비성의 법칙”
 
Pavlov의 “강도의 원리”
 
Skinner의 “강화의 원리”
 

정답 : ④ Skinner의 “강화의 원리” (2014년4회)
13.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교육대상별 교육 내용 중 근로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 (단,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산업조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④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2018년4회)
14. 
상해의 종류별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골절
 
중독
 
동상
 
감전
 

정답 : ④ 감전 (2019년4회)
15. 
방독마스크의 흡수관의 종류와 사용조건이 옳게 연결된 것은?
 
보통가스용 - 산화금속
 
유기가스용 - 활성탄
 
일산화탄소용 - 알칼리제제
 
암모니아용 - 산화금속
 

정답 : ② 유기가스용 - 활성탄 (2016년1회)
16. 
허즈버그(Herzberg)의 동기ㆍ위생이론 중에서 위생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보수
 
책임감
 
작업조건
 
관리감독
 

정답 : ② 책임감 (2012년1회)
17. 
일반적으로 재해원인을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으로 나눌때 다음 중 직접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기술적 원인
 
관리적 원인
 
교육적 원인
 
물적 원인
 

정답 : ④ 물적 원인 (2011년4회)
1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위험 예지활동은?
작업을 오조작 없이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작업공정의 요소에서 자신의 행동을 하고 대상을 가리킨 후 큰 소리로 확인하는 것
 
지적확인
 
Tool Box Meeting
 
터치 앤 콜
 
삼각위험예지훈련
 

정답 : ① 지적확인 (2013년1회)
19. 
다음 중 재해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 재해건수가 비교적 적은 사업장의 적용에 적합하고, 특수재해나 중대재해의 분석에 사용하는 방법은?
 
개별분석
 
통계분석
 
사전분석
 
크로스(Cross)분석
 

정답 : ① 개별분석 (2013년1회)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 관련 교육과정 중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특별안전ㆍ보건교육
 
안전관리자 신규ㆍ보수 교육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
 
채용 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정답 : ② 안전관리자 신규ㆍ보수 교육 (2013년4회)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통제표시비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5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공차
 
조작시간
 
일치성
 
목측거리
 

정답 : ③ 일치성 (2014년4회)
22. 
인간계측자료를 응용하여 제품을 설계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제품과 적용기준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출입문 - 최대 집단치 설계기준
 
안내 데스크 - 평균치 설계기준
 
선반 높이 - 최대 집단치 설계기준
 
공구 - 평균치 설계기준
 

정답 : ③ 선반 높이 - 최대 집단치 설계기준 (2013년2회)
23. 
다음 중 사업장에서 인간공학 적용 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작업환경 개선
 
장비 및 공구의 설계
 
재해 및 질병예방
 
신뢰성 설계
 

정답 : ④ 신뢰성 설계 (2012년2회)
24. 
FT도에 사용되는 기호 중 입력신호가 생긴 후, 일정시간이 지속된 후에 출력이 생기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OR게이트
 
위험 지속 기호
 
억제 게이트
 
배타적 OR 게이트
 

정답 : ② 위험 지속 기호 (2019년1회)
25. 
건강한 남성이 8시간 동안 특정 작업을 실시하고, 분당산소 소비량이 1.3L/분으로 나타났다면 8시간 총 작업시간에 포함될 휴식시간은 약 몇 분인가? (단, Murrell의 방법을 적용하며, 휴식 중 에너지소비율은 1.5kcal/min 이다.)
 
96분
 
144분
 
172분
 
192분
 

정답 : ② 144분 (2014년4회)
26. 
근골격계 질환의 인간공학적 주요 위험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과도한 힘
 
부적절한 자세
 
고온의 환경
 
단순 반복 작업
 

정답 : ③ 고온의 환경 (2018년1회)
27. 
1cd의 점광원에서 1m 떨어진 곳에서의 조도가 3 lux이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5m 떨어진 곳에서의 조도는 약 몇 lux 인가?
 
0.12
 
0.22
 
0.36
 
0.56
 

정답 : ① 0.12 (2014년1회)
28. 
다음 중 보험으로 위험조정을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전가
 
보류
 
위험감축
 
위험회피
 

정답 : ① 전가 (2012년2회)
29. 
시스템안전분석기법 중 FME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원자력 발전 및 화학설비 등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전문가와 브레인스토밍 팀을 구성하여 분석한다.
 
휴먼에러와 휴먼에러에 의한 영향을 예견하기 위해 사용되며 HAZOP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래픽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과정을 가시화시키는 분석방법이며 논리기호를 사용한다.
 
시스템을 구성요소로 나누어 고장의 가능성을 정하고 그 영향을 결정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정답 : ④ 시스템을 구성요소로 나누어 고장의 가능성을 정하고 그 영향을 결정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2014년4회)
30. 
다음 중 텍스트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영문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읽기 쉽다.
 
자간이 좁을 때보다 보통일 때 더 많은 단어를 읽을 수 있다.
 
행간이 좁을수록 더 읽기 쉽다.
 
문장은 수동문이나 부정문보다 능동문이나 긍정문이 더 이해하기 쉽다.
 

정답 : ④ 문장은 수동문이나 부정문보다 능동문이나 긍정문이 더 이해하기 쉽다. (2011년4회)
31. 
다음 중 부품배치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요성의 원칙
 
사용빈도의 원칙
 
사용순서의 원칙
 
작업공간의 원칙
 

정답 : ④ 작업공간의 원칙 (2015년4회)
32. 
조종 장치의 촉각적 암호화를 위하여 고려하는 특성이 아닌 것은?
 
형상
 
무게
 
크기
 
표면 촉감
 

정답 : ② 무게 (2017년4회)
33. 
다음 중 완력검사에서 당기는 힘을 측정할 때 가장 큰 힘을 낼 수 있는 팔꿈치의 각도는?
 
90°
 
120°
 
150°
 
180°
 

정답 : ③ 150° (2012년1회)
34. 
촉각적 표시장치에서 기본 정보 수용기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정답 : ④ 손 (2016년4회)
35. 
다음 중 정량적 표시장치의 눈금 수열로 가장 인식하기 쉬운 것은?
 
1, 2, 3 …
 
2, 4, 5 …
 
3, 6, 9 …
 
4, 8, 12 …
 

정답 : ① 1, 2, 3 … (2013년1회)
36. 
다음 중 조종-반응 비율(C/R비)에 따른 이동시간과 조정시간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 : ① (2013년1회)
37. 
다수의 표시장치(디스플레이)를 수평으로 배열할 경우 해당 제어장치를 각각의 표시장치 아래에 배치하면 좋아지는 양립성의 종류는?
 
공간 양립성
 
운동 양립성
 
개념 양립성
 
양식 양립성
 

정답 : ① 공간 양립성 (2020년3회)
38. 
보전효과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설비고장 강도율의 식으로 맞는 것은?
 
부하시간 ÷ 설비가동시간
 
총 수리시간 ÷ 설비가동시간
 
설비고장건수 ÷ 설비가동시간
 
설비고장 정지시간 ÷ 설비가동시간
 

정답 : ④ 설비고장 정지시간 ÷ 설비가동시간 (2017년2회)
39. 
다음 중 인체측정 자료를 응용하고자 할 경우 최대 치 수 기준으로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문의 높이
 
선반의 높이
 
통로의 높이
 
비상구의 높이
 

정답 : ② 선반의 높이 (2011년1회)
40. 
조작자 한 사람의 신뢰도가 0.9일대 요원을 중복하여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진행하는 공정이 있다. 작업 기간 중 항상 요원 지원을 한다면 이 조의 인간 신뢰도는?
 
0.93
 
0.94
 
0.96
 
0.99
 

정답 : ④ 0.99 (2020년3회)

건설시공학

41. 
발주자는 시공자에게 시공을 위임하고 실제로 시공에 소요된 비용, 즉 공사실비(cost)와 미리 정해 놓은 보수 (fee)를 시공자가 받는 방식으로 발주자, 컨설턴트 또는 엔지니어 및 시공자 3자가 협의하여 공사비를 결정하는 도급 계약 방식은?
 
실비정산 보수가산계약
 
공동도급 계약방식
 
파트너링 방식
 
분할 도급계약방식
 

정답 : ① 실비정산 보수가산계약 (2014년1회)
42. 
콘크리트의 측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콘크리트의 비중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작다.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질수록 측압이 작다.
 

정답 : ④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질수록 측압이 작다. (2020년1회)
43. 
현장개설 후 자재수급 계획 시 필요조건이 아닌 것은?
 
자재 명세서
 
납입 계획서
 
발주ㆍ구입시기
 
세금계산서
 

정답 : ④ 세금계산서 (2016년1회)
44. 
시공계획 시 우선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상세 공정표의 작성
 
노무, 기계, 재로 등의 조달, 사용 계획에 따는 수송계획 수립
 
현장관리 조직과 인사계획 수립
 
시공도의 작성
 

정답 : ④ 시공도의 작성 (2019년1회)
45. 
벽체로 둘러싸인 구조물에 적합하고 일정한 속도로 거푸집을 상승시키면서 연속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마감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거푸집공법은?
 
플라잉 폼
 
터널 폼
 
슬라이딩 폼
 
유로 폼
 

정답 : ③ 슬라이딩 폼 (2020년1회)
46. 
트렌치와 같은 도랑파기에 가장 적합한 장비명은?
 
불도저
 
리퍼
 
백호우
 
파워쇼벨
 

정답 : ③ 백호우 (2016년1회)
47. 
Top down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하층과 지상층을 동시작업하므로 공기가 단축된다.
 
완전역타, 부분역타, 보 및 거더식 역타공법 등이 있다.
 
설계변경은 언제나 가능하고, 급배기 환기시설 등이 불필요하다.
 
도심지 공사에서 1층 작업장을 활용하고자 할 때 적용한다.
 

정답 : ③ 설계변경은 언제나 가능하고, 급배기 환기시설 등이 불필요하다. (2013년2회)
48. 
전체공사의 진척이 원활하며 공사의 시공 및 책임한계가 명확하여 공사관리가 쉽고 하도급의 선택이 용이한 도급제도는?
 
공정별분할도급
 
일식도급
 
단가도급
 
공구별분할도급
 

정답 : ② 일식도급 (2014년4회)
49. 
거푸집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묽은 콘크리트일수록 측압이 크다.
 
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이 크다.
 
조강시멘트 등 응결시간이 빠른 것을 사용할수록 측압은 작아진다.
 

정답 : ③ 철근량이 많을수록 측압이 크다. (2012년1회)
50. 
Earth Anchor 시공에서 앵커의 스트랜드는 어디에 장착 되는가?
 
Angle Bracket
 
Packer
 
Sheath
 
Anchor Head
 

정답 : ④ Anchor Head (2011년1회)
51.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진동다짐한 콘크리트의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커진다.
 
공기연행제는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좋게 한다.
 
물시멘트비가 커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진다.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이 촉진되고 초기강도는 커진다.
 

정답 : ③ 물시멘트비가 커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진다. (2017년2회)
52. 
공정계획에서 공정표 작성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초공사는 옥외 작업이기 때문에 기후에 좌우되기 쉽고 공정 변경이 많다.
 
노무, 재료, 시공기기는 적절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공기를 단축하기 위하여 다른 공사와 중복하여 시공할 수 없다.
 
마감공사는 기후에 좌우되는 것이 적으나 공정단계가 많으므로 충문한 공기(工期)가 필요하다.
 

정답 : ③ 공기를 단축하기 위하여 다른 공사와 중복하여 시공할 수 없다. (2016년4회)
53. 
콘크리트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배합요소는?
 
모래와 자갈의 비율
 
물과 시멘트의 비율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
 
시멘트와 자갈의 비율
 

정답 : ② 물과 시멘트의 비율 (2013년1회)
54. 
VE적용 시 일반적으로 원가절감의 가능성이 가장 큰 단계는?
 
기획 설계
 
공사 착수
 
공사 중
 
유지관리
 

정답 : ① 기획 설계 (2018년2회)
55. 
주문받은 건설업자가 대상계획의 금융, 토지조달, 설계, 시공 등 기타 모든 요소를 포괄한 도급계약 방식은?
 
실비정산 보수가산 도급
 
턴키도급(trun-key)
 
정액도급
 
공동도급(joint venture)
 

정답 : ② 턴키도급(trun-key) (2018년1회)
56. 
철근의 이음을 검사할 때 가스압접이음의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이음위치
 
이음길이
 
외관검사
 
인장시험
 

정답 : ② 이음길이 (2019년1회)
57. 
현장에서의 시공 준비사항 중 대지상황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대지 상황확인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사가 착공되면 바로 대지경계선을 확인하고 표시나 사진을 남긴다.
 
대지의 형상 및 높이를 설계도와 대비하여 실측하고 벤치마크(Bench Mark)를 설치한다.
 
공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하매설물이나 지상장애물을 조사한다.
 
지질조사가 충실한지를 확인하고 지층의 경사, 지하수 등의 자료를 조사한다.
 

정답 : ① 공사가 착공되면 바로 대지경계선을 확인하고 표시나 사진을 남긴다. (2012년1회)
58. 
철골공사의 용접작업 시 맞댄용접의 앞벌림 모양과 관련이 없는 것은?
 
I자형
 
U자형
 
Z자형
 
H자형
 

정답 : ③ Z자형 (2012년4회)
59.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결합점이 가지는 여유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액티비티(Activity)
 
더미(Dummy)
 
패스(Path)
 
슬랙(Slack)
 

정답 : ④ 슬랙(Slack) (2016년1회)
60.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원칙적으로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25%
 
35%
 
45%
 
60%
 

정답 : ④ 60% (2012년4회)

건설재료학

61. 
금속의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가능한 한 습한 상태를 유지할 것
 
가능한 한 이종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하지 말 것
 
큰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풀림하여 사용할 것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할 것
 

정답 : ① 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가능한 한 습한 상태를 유지할 것 (2018년4회)
62. 
다음 중 알루미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0 ~ 300℃에서 풀림한 것은 콘크리트 등의 알칼리에 침식되지 않는다.
 
비중은 철의 1/3 정도이다.
 
전연성이 좋고 내식성이 우수하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600℃에 거의 0 이된다.
 

정답 : ① 250 ~ 300℃에서 풀림한 것은 콘크리트 등의 알칼리에 침식되지 않는다. (2013년2회)
63. 
내화벽돌에서 S.K 29, 33, 42 등의 번호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나타내는가?
 
소성 점토의 성분 표시
 
제품 종류의 표시
 
내화도의 표시
 
흡수도의 표시
 

정답 : ③ 내화도의 표시 (2013년4회)
64. 
골재의 함수상태 사이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유효흡수량 = 표건상태 - 기건상태
 
흡수량 = 습윤상태 - 표건상태
 
전함수량 = 습윤상태 - 기건상태
 
표면수량 = 기건상태 – 절건상태
 

정답 : ① 유효흡수량 = 표건상태 - 기건상태 (2019년2회)
65. 
다음 중 석재의 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화강석 - 외장재
 
대리석 - 내장재
 
점판암 - 구조재
 
석회암 - 콘크리트원료
 

정답 : ③ 점판암 - 구조재 (2013년4회)
66. 
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 제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대형판 제조가 불가능하다.
 
시공이 용이하고 내화성이 크다.
 
제품 발포제로서 알루미늄 분말을 사용한다.
 
절건상태에서 비중이 0.45~0.55 정도이다.
 

정답 : ① 대형판 제조가 불가능하다. (2014년1회)
67.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시멘트의 분말도는 단위중량에 대한 표면적이다.
 
분말도가 큰 시멘트일수록 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되어 수화반응이 촉진된다.
 
분말도 측정은 슬럼프 시험으로 한다.
 
분말도가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풍화되기가 쉽다.
 

정답 : ③ 분말도 측정은 슬럼프 시험으로 한다. (2018년1회)
68. 
점토제품 제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원료조합에는 필요한 경우 제점제를 첨가한다.
 
반죽과정에서는 수분이나 경도를 균질하게 한다.
 
숙성과정에서는 반죽덩어리를 되도록 크게 뭉쳐 둔다.
 
성형은 건식, 반건식, 습식 등으로 구분한다.
 

정답 : ③ 숙성과정에서는 반죽덩어리를 되도록 크게 뭉쳐 둔다. (2015년4회)
69. 
매스콘크리트에서 균열제어를 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적게 한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건조수축 등을 고려하여 되도록 작은 값을 사용한다.
 
급격한 온도 변화를 피한다.
 
저발열성 시멘트를 사용한다.
 

정답 : ②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건조수축 등을 고려하여 되도록 작은 값을 사용한다. (2014년2회)
70. 
마루판으로 사용할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
 
코펜하겐 리브
 
플로어링 보드
 
파키트 블록
 
파키트 패널
 

정답 : ① 코펜하겐 리브 (2017년4회)
71. 
다음 미장재료 중 균열 발생이 가장 적은 것은?
 
회반죽
 
시멘트 모르타르
 
경석고 플라스터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 : ③ 경석고 플라스터 (2019년4회)
72. 
방사선 차단성이 가장 큰 금속은?
 
 
알루미늄
 
 
주철
 

정답 : ① 납 (2017년2회)
73. 
KS F 3211(건설용 도막방수재)에서 주요 원료에 따른 방수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우레탄 고무계 방수재
 
아크릴 고무계 방수재
 
에폭시 수자계 방수재
 
고무 아스팔트계 방수재
 

정답 : ③ 에폭시 수자계 방수재 (2012년1회)
74. 
공기 중에 환원력이 커서 산화가 쉽고, 이온화 경향이 가장 큰 금속은?
 
Al
 
Pb
 
Fe
 
Cu
 

정답 : ① Al (2011년1회)
75. 
다음 중 마루판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플로팅 보드
 
파키트리 패널
 
파키트리 블록
 
코펜하겐 리브
 

정답 : ④ 코펜하겐 리브 (2017년2회)
76. 
다음 중 천연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트래버틴
 
대리석
 
화강석
 
테라죠
 

정답 : ④ 테라죠 (2017년4회)
77. 
건축공사의 일반창유리로 사용되는 것은?
 
석영유리
 
붕규산유리
 
칼라석회유리
 
소다석회유리
 

정답 : ④ 소다석회유리 (2020년3회)
78. 
미장재료 중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돌로마이트에 모래, 여물을 섞어 반죽한 것이다.
 
소석회보다 점성이 크다.
 
회반죽에 비하여 최종강도는 작고 착색이 어렵다.
 
건조수축이 커서 균열이 생기기 쉽다.
 

정답 : ③ 회반죽에 비하여 최종강도는 작고 착색이 어렵다. (2018년2회)
79. 
미장바름의 종류 중 돌로마이트에 화강석 부스러기, 색모래, 안료 등을 섞어 정벌바름하고 충분히 굳지 않은 때에 거친 솔 등으로 긁어 거친면으로 마무리한 것은?
 
모조석
 
라프코트
 
리신바름
 
흙바름
 

정답 : ③ 리신바름 (2018년2회)
80. 
점토 제품 중 흡수성이 가장 작은 것은?
 
도기류
 
토기류
 
자기류
 
석기류
 

정답 : ③ 자기류 (2017년2회)

건설안전기술

81. 
공사종류 및 규모별 안전관리비 계상 기준표에서 공사종류의 명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철도ㆍ궤도신설공사
 
일반건설공사(병)
 
중건설공사
 
특수 및 기타건설공사
 

정답 : ② 일반건설공사(병) (2020년1회)
82. 
건설공사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시 대상액이 구분 되어 있지 않은 공사는 도급계약 또는 자체사업 계획상의 총공사금액 중 얼마를 대상액으로 하는가?
 
50%
 
60%
 
70%
 
80%
 

정답 : ③ 70% (2011년2회)
83. 
개착식 굴착공사(Open cut)에서 설치하는 계측기기와 거리가 먼 것은?
 
수위계
 
경사계
 
응력계
 
내공변위계
 

정답 : ④ 내공변위계 (2017년2회)
84. 
이동식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 이하로 하고,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정답 : ④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 이하로 하고,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2019년4회)
85. 
거푸집 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 조립도에 명시하여야 할 사항은?
 
개구부 위치
 
덧댐목의 위치
 
작업하중
 
동바리⋅멍에 등 부재의 재질 및 단면규격
 

정답 : ④ 동바리⋅멍에 등 부재의 재질 및 단면규격 (2011년4회)
86. 
현장에서 양중작업 중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기준이 아닌 것은?
 
이음매가 없는 것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정답 : ① 이음매가 없는 것 (2012년2회)
87. 
크레인의 와이어로프가 일정 한계 이상 감기지 않도록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는?
 
훅해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정답 : ② 권과방지장치 (2017년4회)
88. 
발파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장전구는 마찰ㆍ충격ㆍ정전기 등에 의한 폭발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것을 사용할 것
 
발파공의 충진재료는 점토ㆍ모래 등 발화성 또는 인화성의 위험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것
 
얼어붙은 다이나마이트는 화기에 접근시키거나 그 밖의 고열물에 직접 접촉시켜 단시간 안에 융해시킬 수 있도록 할 것
 
전기뇌관에 의한 발파의 경우 점화하기 전에 화약류를 장전한 장소로부터 30m 이상 떨어진 안전한 장소에서 전선에 대하여 저항측정 및 도통시험을 할 것
 

정답 : ③ 얼어붙은 다이나마이트는 화기에 접근시키거나 그 밖의 고열물에 직접 접촉시켜 단시간 안에 융해시킬 수 있도록 할 것 (2018년2회)
89. 
비계발판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은?
 
비계의 제조회사
 
재료의 부식 및 손상정도
 
지점의 간격 및 작업시 하중
 
비계의 높이
 

정답 : ③ 지점의 간격 및 작업시 하중 (2014년1회)
90. 
콘크리트 타설 후 물이나 미세한 불순물이 분리 상승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와 이때 표면에 발생하는 미세한 물질을 가리키는 용어를 옳게 나열한 것은?
 
블리딩 - 레이턴스
 
보링 - 샌드드레인
 
히빙 - 슬라임
 
블로우홀 - 스래그
 

정답 : ① 블리딩 - 레이턴스 (2012년1회)
91. 
개착식 굴착공사(Open cut)에서 설치하는 계측기기와 거리가 먼 것은?
 
수위계
 
경사계
 
응력계
 
내공변위계
 

정답 : ④ 내공변위계 (2015년1회)
92. 
철골구조물의 건립 순서를 계획할 때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현장건립 순서와 공장제작 순서를 일치시킨다.
 
건립기계의 작업반경과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조립 순서를 결정한다.
 
건립 중 가볼트 체결기간을 가급적 길게 하여 안정을 기한다.
 
연속기둥 설치시 기둥을 2개 세우면 기둥 사이의 보도 동시에 설치하도록 한다.
 

정답 : ③ 건립 중 가볼트 체결기간을 가급적 길게 하여 안정을 기한다. (2015년1회)
93.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얼마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200 ㎏
 
300 ㎏
 
400 ㎏
 
500 ㎏
 

정답 : ③ 400 ㎏ (2016년2회)
94. 
가열에 사용되는 가스 등의 용기를 취급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밸브의 개폐는 최대한 빨리 할 것
 
전도의 위험이 없도록 할 것
 
용기의 온도를 섭씨 40도 이하로 유지할 것
 
운반하는 경우에는 캡을 씌울 것
 

정답 : ① 밸브의 개폐는 최대한 빨리 할 것 (2019년4회)
95. 
다음 중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직재 ㆍ 수평재 ㆍ 가새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구조가 되도록 할 것
 
비계 밑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 철물 전체길이의 4분의 1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수평재는 수직재와 직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체결후 흔들림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것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철물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로 할 것
 

정답 : ② 비계 밑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 철물 전체길이의 4분의 1 이상이 되도록 할 것 (2012년4회)
96. 
다음은 고소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는?
작업대를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으로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져 작업대가 떨어지지 아니하는 구조여야 하며,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의 안전율은 (     )이상일 것
 
5
 
7
 
8
 
10
 

정답 : ① 5 (2012년4회)
97. 
이동식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승강용 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 이하로 하고,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정답 : ④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 이하로 하고,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2013년1회)
98. 
건설공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시 공통적으로 제출하여야 할 첨부서류가 아닌 것은?
 
공사개요서
 
전체 공정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서
 
가설도로계획서
 

정답 : ④ 가설도로계획서 (2020년3회)
9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추락에 의한 위험 방지와 관련된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사업주는 높이 또는 깊이가 ()를 초과하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승강하기 위한 건설작업용 리프트 등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승강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작업의 성질상 곤란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2m
 
3m
 
4m
 
5m
 

정답 : ① 2m (2013년4회)
100. 
고소작업대가 갖추어야 할 설치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작업대를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으로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져 작업대가 떨어지지 아니하는 구조여야하며, 와이어로프 도는 체인의 안전율은 3이상일 것
 
작업대를 유압에 의해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작업대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압력의 이상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일 것
 
작업대에 끼임·충돌 등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가드 또는 과상승방지장치를 설치할 것,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압력의 이상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일 것
 
작업대에 정격하중(안전율 5이상)을 표시할 것
 

정답 : ① 작업대를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으로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져 작업대가 떨어지지 아니하는 구조여야하며, 와이어로프 도는 체인의 안전율은 3이상일 것 (2017년1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