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0824]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자동차정비기능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시험과목은 " 자동차공학,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안전관리 "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자동차정비기능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무작위)으로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자동차공학
1.
일반적으로 기관의 회전력이 가장 클 때는?
①
어디서나 같다
②
저속
③
고속
④
중속
정답 : ④ 중속 (2012년2회)
2.
밸브스프링의 점검 항목 및 점검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장력 : 스프링 장력의 감소는 표준값의 10% 이내일 것
②
자유고 : 자유고의 낮아짐 변화량은 3% 이내일 것
③
직각도 : 직각도는 자유높이 100㎜당 3㎜이내일 것
④
접촉면의 상태는 2/3이상 수평일 것
정답 : ① 장력 : 스프링 장력의 감소는 표준값의 10% 이내일 것 (2013년1회)
3.
각종 센서의 내부 구조 및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냉각수 온도 센서: NTC를 이용한 서미스터 전압값의 변화
②
맵 센서 : 진공으로 저항(피에조)값을 변화
③
지르코니아 산소센서 : 온도에 의한 전류값을 변화
④
스로틀(밸브)위치 센서 : 가변저항을 이용한 전압값 변화
정답 : ③ 지르코니아 산소센서 : 온도에 의한 전류값을 변화 (2013년1회)
4.
다음 중 전자제어 엔진에서 연료분사 피드백(Feed back) 에 가장 필요한 센서는?
①
스로틀 포지션 센서
②
대기압 센서
③
차속 센서
④
산소(O2)센서
정답 : ④ 산소(O2)센서 (2015년2회)
5.
배기량이 785㏄, 연소실체적이 157㏄인 자동차 기관의 압축비는 ?
①
3 : 1
②
4 : 1
③
5 : 1
④
6 : 1
정답 : ④ 6 : 1 (2013년4회)
6.
자동차 전조등 주광축의 진폭 측정시 10m 위치에서 우측 우향 진폭 기준은 몇 cm 이내 이어야 하는가?
①
10
②
20
③
30
④
39
정답 : ③ 30 (2013년2회)
7.
연료파이프나 연료펌프에서 가솔린이 증발해서 일으키는 현상은?
①
엔진록
②
연료록
③
베이퍼록
④
앤티록
정답 : ③ 베이퍼록 (2016년2회)
8.
자동차기관의 기본 사이클이 아닌 것은?
①
역 브레이튼 사이클
②
정적 사이클
③
정압 사이클
④
복합 사이클
정답 : ① 역 브레이튼 사이클 (2014년2회)
9.
가솔린 기관의 연료펌프에서 체크밸브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연료라인 내의 잔압을 유지한다.
②
기관 고온 시 연료의 베이퍼록을 방지한다.
③
연료의 맥동을 흡수한다.
④
연료의 역류를 방지한다.
정답 : ③ 연료의 맥동을 흡수한다. (2015년5회)
10.
표준 대기압의 표기로 옳은 것은?
①
735 ㎜Hg
②
0.85 kgf/cm2
③
101.3 kPa
④
10 bar
정답 : ③ 101.3 kPa (2015년5회)
11.
스텝 모터 방식의 공전속도 제어장치에서 스탭 수가 규정에 맞지 않은 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공전속도 조정 불량
②
메인 듀티 S/V고착
③
스로틀 밸브 오염
④
흡기다기관의 진공누설
정답 : ② 메인 듀티 S/V고착 (2014년4회)
12.
피에죠(PIEZO) 저항을 이용한 센서는?
①
차속 센서
②
매니폴드압력 센서
③
수온 센서
④
크랭크각 센서
정답 : ② 매니폴드압력 센서 (2015년4회)
13.
평균유효압력이 10㎏f/cm2, 배기량이 7500cc, 회전속도 2400rpm, 단기통인 2행정 사이클의 지시마력은?
①
200PS
②
300PS
③
400PS
④
500PS
정답 : ③ 400PS (2016년4회)
14.
커넥팅 로드 대단부의 배빗메탈의 주재료는?
①
주석(Sn)
②
안티몬(Sb)
③
구리(Cu)
④
납(Pb)
정답 : ① 주석(Sn) (2016년2회)
15.
실린더블록이나 헤드의 평면도 측정에 알맞은 게이지는?
①
마이크로미터
②
다이얼게이지
③
버니어 캘리퍼스
④
직각자와 필러 게이지
정답 : ④ 직각자와 필러 게이지 (2015년2회)
16.
기동 전동기가 정상 회전하지만 엔진이 시동 되지 않는 원인과 관련이 있는 사항은?
①
밸브 타이밍이 맞지 않을 때
②
조향 핸들 유격이 맞지 않을 때
③
현가장치에 문제가 있을 때
④
산소 센서의 작동이 불량일 때
정답 : ① 밸브 타이밍이 맞지 않을 때 (2013년5회)
17.
LPG 기관에서 믹서의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감지하여 ECU에 신호를 보내는 것은?
①
아이들 업 솔레노이드
②
대시포트
③
공전속도 조절밸브
④
스로틀 위치 센서
정답 : ④ 스로틀 위치 센서 (2013년2회)
18.
과급기가 설치된 엔진에 장착된 센서로서 급속 및 증속에서 ECU로 신호를 보내주는 센서는?
①
부스터 센서
②
노크 센서
③
산소 센서
④
수온 센서
정답 : ① 부스터 센서 (2013년5회)
19.
엔진이 작동 중 과열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냉각수의 부족
②
라디에이터 코어의 막힘
③
전동 팬 모터 릴레이의 고장
④
수온조절기가 열린 상태로 고장
정답 : ④ 수온조절기가 열린 상태로 고장 (2014년5회)
20.
인젝터의 점검 사항 중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해야 하는 것은?
①
저항
②
작동 음
③
분사시간
④
분사량
정답 : ③ 분사시간 (2012년5회)
자동차정비 및 안전기준
21.
전자제어 가솔린 분사장치 기관에서 스로틀 바디 인젝터(TBI)방식 차량의 인젝터 설치 위치로 가장 적합한 곳은?
①
스로틀 밸브 상부
②
스로틀 밸브 하부
③
흡기 밸브 전단
④
흡기 다기관 중안
정답 : ① 스로틀 밸브 상부 (2012년5회)
22.
브레이크장치의 유압회로에서 발생하는 베이퍼록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긴 내리막길에서 과도한 브레이크 사용
②
비점이 높은 브레이크액을 사용 했을 때
③
드럼과 라이닝의 끌림에 의한 가열
④
브레이크슈 리턴스프링의 쇠 손에 의한 잔압 저하
정답 : ② 비점이 높은 브레이크액을 사용 했을 때 (2014년1회)
23.
브레이크 계통을 정비한 후 공기빼기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①
브레이크 파이프나 호스를 떼어 낸 경우
②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오일을 보충한 경우
③
베이퍼 록 현상이 생긴 경우
④
휠 실린더를 분해 수리한 경우
정답 : ②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오일을 보충한 경우 (2014년4회)
24.
공기식 제동장치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①
언로더 밸브
②
릴레이 밸브
③
브레이크 챔버
④
EGR 밸브
정답 : ④ EGR 밸브 (2015년5회)
25.
인젝터 회로의 정상적인 파형이 그림과 같을 때 본선의 접속불량시 나올 수 있는 파형 중 맞는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④
(2013년5회)
26.
피스톤 핀의 고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전 부동식
②
반 부동식
③
4분의 3 부동식
④
고정식
정답 : ③ 4분의 3 부동식 (2013년2회)
27.
유압식 브레이크장치에서 브레이크가 풀리지 않는 원인은?
①
오일 점도가 낮기 때문
②
파이프 내의 공기 혼입
③
첵밸브의 접촉 불량
④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구멍 막힘
정답 : ④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구멍 막힘 (2012년2회)
28.
공기 브레이크에서 공기압을 기계적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는?
①
릴레이 밸브
②
브레이크 슈
③
브레이크 밸브
④
브레이크 챔버
정답 : ④ 브레이크 챔버 (2013년2회)
29.
차량 총 중량 5000kgf의 자동차가 20%의 구배길을 올라갈 때 구배저항(Rg)은?
①
2500kgf
②
2000kgf
③
1710kgf
④
1000kgf
정답 : ④ 1000kgf (2015년4회)
30.
전자제어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이 60% 정도 밖에 나오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킥다운 불량
②
오버 드라이브 안 됨
③
3속에서 4속 변속 안됨
④
전체적으로 기어 변속 안 됨
정답 : ① 킥다운 불량 (2012년4회)
31.
종감속 장치에서 하이포이드 기어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①
기어 이의 물림 율이 크기 때문에 회전이 정숙하다.
②
기어의 편심으로 차체의 전고가 높아진다.
③
추진축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거주성이 향상된다.
④
이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강도를 향상시킨다.
정답 : ② 기어의 편심으로 차체의 전고가 높아진다. (2014년4회)
32.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EPS)의 구성에서 비접촉 광학식 센서를 주로 사용하여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검출하는 센서는?
①
스로틀 포지션센서
②
전동기 회전각도 센서
③
차속센서
④
토크센서
정답 : ④ 토크센서 (2013년1회)
33.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출력부가 아닌 것은?
①
TPS
②
지시등, 경고등
③
액추에이터
④
고장코드
정답 : ① TPS (2013년1회)
34.
레이디얼타이어 호칭이“175 / 70 SR 14"일 때 “70”이 의미하는 것은?
①
편평비
②
타이어폭
③
최대속도
④
타이어내경
정답 : ① 편평비 (2015년1회)
35.
자동변속기에서 토크컨버터의 터빈축이 연결되는 곳은?
①
변속기 입력부분
②
변속기 출력부분
③
가이드링 부분
④
임펠러 부분
정답 : ① 변속기 입력부분 (2012년4회)
36.
전자제어 현가장치(E.C.S) 입력신호가 아닌 것은?
①
휠 스피드센서
②
차고센서
③
조향휠 각속도 센서
④
차속센서
정답 : ① 휠 스피드센서 (2015년1회)
37.
브레이크 페달의 유격이 과다한 이유로 틀린 것은?
①
드럼브레이크 형식에서 브레이크 슈의 조정불량
②
브레이크 페달의 조정불량
③
타이어 공기압의 불균형
④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과 브레이크 부스터 푸쉬로드의 간극 불량
정답 : ③ 타이어 공기압의 불균형 (2013년1회)
38.
주행 중 조향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바퀴 허브 너트를 너무 꽉 조였다.
②
좌·우의 캠버가 같지 않다.
③
컨트롤 암(위 또는 아래)이 휘었다.
④
좌·우의 타이어 공기압이 다르다.
정답 : ① 바퀴 허브 너트를 너무 꽉 조였다. (2015년2회)
39.
다음 중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판스프링에서 스팬의 길이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①
새클
②
스팬
③
행거
④
U볼트
정답 : ① 새클 (2015년4회)
40.
조향 핸들의 유격이 크게 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볼 이음의 마멸
②
타이로드의 휨
③
조향 너클의 헐거움
④
앞바퀴 베어링의 마멸
정답 : ② 타이로드의 휨 (2012년5회)
안전관리
41.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아래 그림이 의미하는 것은?
①
직진금지
②
출입금지
③
보행금지
④
차량통행금지
정답 : ② 출입금지 (2016년4회)
42.
자동차 전기장치에서 "임의의 한 점으로 유입된 전류의 총합은 유출한 전류의 총합과 같다."는 현상을 설명한 것은?
①
앙페르의 법칙
②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③
뉴턴의 제1법칙
④
렌츠의 법칙
정답 : ②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2012년4회)
43.
전조등 회로의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①
라이트 스위치
②
전조등 릴레이
③
스테이터
④
딤머 스위치
정답 : ③ 스테이터 (2013년1회)
44.
기계 부품에 작용하는 하중에서 안전율을 가장 크게 하여야 할 하중은?
①
정 하중
②
교번하중
③
충격하중
④
반복하중
정답 : ③ 충격하중 (2014년2회)
45.
PTC서미스터에서 온도와 저항값의 변화 관계가 맞는 것은?
①
온도 증가와 저항값은 관련 없다.
②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한다.
③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한다.
④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 감소 반복한다.
정답 : ③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한다. (2012년5회)
46.
다이얼 게이지 취급 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작동이 불량하면 스핀들에 주유 혹은 그리스를 도포해서 사용한다.
②
분해 청소나 조정은 하지 않는다.
③
다이얼 인디케이터에 충격을 가해서는 안 된다.
④
측정 시는 측정 물에 스핀들을 직각으로 설치하고 무리한 접촉은 피한다.
정답 : ① 작동이 불량하면 스핀들에 주유 혹은 그리스를 도포해서 사용한다. (2015년2회)
47.
일반 가연성 물질의 화재로서 물이나 소화기를 이용하여 소화하는 화재의 종류는?
①
A급 화재
②
B급 화재
③
C급 화재
④
D급 화재
정답 : ① A급 화재 (2014년2회)
48.
기계가공 작업 중 갑자기 정전이 되었을 때 조치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
②
퓨즈를 점검한다.
③
공작물과 공구를 떼어 놓는다.
④
즉시 스위치를 끈다.
정답 : ① 전기가 들어오는 것을 알기 위해 스위치를 넣어둔다. (2012년5회)
49.
귀 마개를 착용하여야 하는 작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기압축기가 가동되는 기계실 내에서 작업
②
디젤엔진 정비작업
③
단조작업
④
제관작업
정답 : ② 디젤엔진 정비작업 (2013년4회)
50.
작업장에서 중량물 운반수레의 취급 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적재중심은 가능한 한 위로 오도록 한다.
②
화물이 앞뒤 또는 측면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
③
사용 전 운반수레의 각부를 점검한다.
④
앞이 안 보일 정도로 화물을 적재하지 않는다.
정답 : ① 적재중심은 가능한 한 위로 오도록 한다. (2016년4회)
51.
자동차 등화장치에서 12 V 축전지에서 30 W의 전구를 사용하였다면 저항은?
①
4. 8 Ω
②
5.4 Ω
③
6.3 Ω
④
7.6 Ω
정답 : ① 4. 8 Ω (2012년5회)
52.
가솔린기관의 진공도 측정 시 안전에 관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기관의 벨트에 손이나 옷자락이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작업 시 주차브레이크를 걸고 고임목을 괴어둔다.
③
리프트를 눈높이까지 올린 후 점검한다.
④
화재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소화기를 준비한다.
정답 : ③ 리프트를 눈높이까지 올린 후 점검한다. (2014년5회)
53.
에어백 장치를 점검, 정비할 때 안전하지 못한 행동은?
①
에어백 모듈은 사고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다.
②
조향휠을 장착할 때 클럭 스프링의 중립 위치를 확인한다.
③
에어백 장치는 축전지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정비한다.
④
인플레이터의 저항은 아날로그 테스터기로 측정하지 않는다.
정답 : ① 에어백 모듈은 사고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다. (2016년2회)
54.
계기판의 주차 브레이크등이 점등되는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져 있을 때
②
브레이크액이 부족 할 때
③
브레이크 페이드 현상이 발생 했을 때
④
EBD 시스템에 결함이 발생 했을 때
정답 : ③ 브레이크 페이드 현상이 발생 했을 때 (2014년1회)
55.
그림과 같이 테스트 램프를 사용하여 릴레이 회로의 각 단자(B, L, S1, S2)를 점검하였을 때 테스트 램프의 작동이 틀린 것은? (단, 테스트 램프 전구는 LED 전구이며, 테스트 램프의 접지는 차체 접지)
①
B단자는 점등된다.
②
L단자는 점등되지 않는다.
③
S1단자는 점등된다.
④
S2단자는 점등되지 않는다.
정답 : ④ S2단자는 점등되지 않는다. (2013년4회)
56.
축전기(condensor)에 저장되는 정전용량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가해지는 전압에 정비례한다.
②
금속판 사이의 거리에 정비례한다.
③
상대하는 금속판의 면적에 정비례한다.
④
금속판 사이 절연체의 절연도에 정비례한다.
정답 : ② 금속판 사이의 거리에 정비례한다. (2014년4회)
57.
산업 안전표지 종류에서 비상구 등을 나타내는 표지는?
①
금지표지
②
경고표지
③
지시표지
④
안내표지
정답 : ④ 안내표지 (2016년4회)
58.
절삭기계 테이블의 T홈 위에 있는 칩 제거 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걸레
②
맨손
③
솔
④
장갑 낀 손
정답 : ③ 솔 (2015년5회)
59.
연삭 작업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①
나무 해머로 연삭숫돌을 가볍게 두들겨 맑은 음이 나면 정상이다.
②
연삭숫돌의 표면이 심하게 변형된 것은 반드시 수정한다.
③
받침대는 숫돌차의 중심선보다 낮게 한다.
④
연삭숫돌과 받침대와의 간격은 3㎜이내로 유지한다.
정답 : ③ 받침대는 숫돌차의 중심선보다 낮게 한다. (2013년2회)
60.
지렛대를 사용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깨진 부분이나 마디 부분에 결함이 없어야 한다.
②
손잡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다.
③
화물의 치수나 중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④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한다.
정답 : ④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한다. (2016년1회)
728x90
'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0824]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8.24 |
---|---|
전기기능사 필기 [0824]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8.24 |
위험물기능사 필기 [0823]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0) | 2023.08.23 |
웹디자인기능사 필기 [0823]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1) | 2023.08.23 |
용접기능사 필기 [0822]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