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0521]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시험과목은 " 공조냉동안전관리, 냉동기계, 공기조화 "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공조냉동안전관리

1. 
냉동장치의 안전운전을 위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압축기와 응축기 간에 스톱밸브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압축기를 가동할 것
 
주기적으로 유압을 체크할 것
 
동절기(휴지기)에는 응축기 및 수배관의 물을 완전히 뺄 것
 
압축기를 처음 가동 시에는 정상으로 가동되는가를 확인할 것
 

정답 : ① 압축기와 응축기 간에 스톱밸브가 닫혀있는 것을 확인한 후 압축기를 가동할 것 (2015년4회)
2. 
안전사고의 발생 중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설비의 미비
 
정돈상태의 불량
 
계측공구의 미비
 
작업자의 실수
 

정답 : ④ 작업자의 실수 (2011년4회)
3. 
기계설비의 본질적 안전화를 위해 추구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풀 프루프(fool proof)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안전 기능이 기계설비에 내장되어 있지 않도록 한다.
 
조작상 위험이 가능한 없도록 한다.
 
페일 세이프(fail safe)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정답 : ② 안전 기능이 기계설비에 내장되어 있지 않도록 한다. (2016년2회)
4. 
다음의 안전·보건표지가 의미하는 것은?
 
사용금지
 
보행금지
 
탑승금지
 
출입금지
 

정답 : ① 사용금지 (2014년4회)
5. 
냉동설비의 설치공사 후 기밀시험 시 사용되는 가스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공기
 
산소
 
질소
 
아르곤
 

정답 : ② 산소 (2014년1회)
6. 
산소 용기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용기를 운반 시 밸브를 닫고 캡을 씌워서 이동할 것
 
용기는 전도, 충돌, 충격을 주지 말 것
 
용기는 통풍이 안 되고 직사광선이 드는 곳에 보관할 것
 
용기는 기름이 묻은 손으로 취급하지 말 것
 

정답 : ③ 용기는 통풍이 안 되고 직사광선이 드는 곳에 보관할 것 (2014년1회)
7. 
다음 중 위생 보호구에 해당되는 것은?
 
안전모
 
귀마개
 
안전화
 
안전대
 

정답 : ② 귀마개 (2015년2회)
8. 
보안경을 사용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중량물의 낙하 시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서
 
유해약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칩의 비산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유해 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정답 : ① 중량물의 낙하 시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서 (2013년1회)
9. 
연소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온도가 높을수록 연소속도가 빨라진다.
 
입자가 작을수록 연소속도가 빨라진다.
 
촉매가 작용하면 연소속도가 빨라진다.
 
산화되기 어려운 물질일수록 연소속도가 빨라진다.
 

정답 : ④ 산화되기 어려운 물질일수록 연소속도가 빨라진다. (2011년1회)
10. 
고온액체, 산, 알카리 화학약품 등의 취급 작업을 할 때 필요 없는 개인 보호구는?
 
모자
 
토시
 
장갑
 
귀마개
 

정답 : ④ 귀마개 (2013년2회)
11. 
다음 산업안전대책 중 기술적인 대책이 아닌 것은?
 
안전설계
 
근로의욕의 향상
 
작업행정의 개선
 
점검보전의 확립
 

정답 : ② 근로의욕의 향상 (2014년5회)
12. 
아크 용접작업 시 사망재해의 주원인은?
 
아크광선에 의한 재해
 
전격에 의한 재해
 
가스 중독에 의한 재해
 
가스폭발에 의한 재해
 

정답 : ② 전격에 의한 재해 (2012년5회)
13. 
아크용접작업 기구 중 보호구와 관계없는 것은?
 
용접용 보안면
 
용접용 앞치마
 
용접용 홀더
 
용접용 장갑
 

정답 : ③ 용접용 홀더 (2016년4회)
14. 
압축기의 탑 클리어런스(top clearance)가 클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체적효율 감소
 
토출가스온도 감소
 
냉동능력 감소
 
윤활유의 열화
 

정답 : ② 토출가스온도 감소 (2014년5회)
15. 
도수율(빈도율)이 20인 사업장의 연천인율은 얼마인가?
 
24
 
48
 
72
 
96
 

정답 : ② 48 (2012년5회)

냉동기계

16.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브라인(Brine)의 산성도(pH)로 가장 적당한 것은?
 
9.2 ~ 9.5
 
7.5 ~ 8.2
 
6.5 ~ 7.0
 
5.5 ~ 6.0
 

정답 : ② 7.5 ~ 8.2 (2011년1회)
17. 
보기의 내용 중 브라인의 구비 조건으로 적절한 것만 골라놓은 것은?
 
 
비열과 열전도율이 클 것
 
끓는점이 높고, 불연성일 것
 
동결온도가 높을 것
 
점성이 크고 부식성이 클 것 ① ①, ② ② ①, ③     ③ ②, ③ ①,
 

정답 : ① 비열과 열전도율이 클 것
(2012년2회)
18. 
자동제어장치의 구성에서 동작신호를 만드는 부분으로 맞는 것은?
 
조절부
 
조작부
 
검출부
 
제어부
 

정답 : ① 조절부 (2013년2회)
19. 
다음 그림 기호의 밸브 종류는?
 
글로블 밸브
 
게이트 밸브
 
풋 밸브
 
안전 밸브
 

정답 : ① 글로블 밸브 (2012년5회)
20. 
다음 용어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냉각(cooling) :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열을 제거하는 것
 
동결(freezing) : 냉각작용에 의해 물질을 응고점 이하까지 열을 제거하여 고체 상태로 만든 것
 
냉장(storage) : 냉각장치를 이용, 0℃ 이상의 온도에서 식품이나 공기 등을 상변화 없이 저장하는 것
 
냉방(air conditioning) : 실내공기에 열을 가하여 주위 온도보다 높게 하는 방법
 

정답 : ④ 냉방(air conditioning) : 실내공기에 열을 가하여 주위 온도보다 높게 하는 방법 (2012년2회)
21. 
응축기 중 외기습도가 응축기 능력을 좌우하는 것은?
 
횡형 쉘엔 튜브식 응축기
 
이중관식 응축기
 
7통로식 응축기
 
증발식 응축기
 

정답 : ④ 증발식 응축기 (2013년5회)
22. 
수냉식 응축기의 능력은 냉각수 온도와 냉각 수량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응축기의 응축능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냉각수량을 줄인다.
 
냉각수의 온도를 낮춘다.
 
응축기의 냉각관을 세척한다.
 
냉각수 유속을 적절히 조절한다.
 

정답 : ① 냉각수량을 줄인다. (2015년5회)
23. 
동관의 분기이음 시 주관에는 지관보다 얼마정도의 큰 구멍을 뚫고 이음 하는가?
 
8 ~ 9㎜
 
6 ~ 7㎜
 
3 ~ 5㎜
 
1 ~ 2㎜
 

정답 : ④ 1 ~ 2㎜ (2013년2회)
24. 
2원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저온측 냉매로서 옳은 것은?
 
R-717
 
R-718
 
R-14
 
R-22
 

정답 : ③ R-14 (2014년2회)
25. 
어떤 물질의 산성, 알칼리성 여부를 측정하는 단위는?
 
CHU
 
USRT
 
pH
 
Therm
 

정답 : ③ pH (2015년4회)
26. 
냉동 장치에서 다단 압축을 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압축비 증가와 체적 효율 감소
 
압축비와 체적 효율 증가
 
압축비와 체적 효율 감소
 
압축비 감소와 체적 효율 증가
 

정답 : ④ 압축비 감소와 체적 효율 증가 (2014년4회)
27. 
아래의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접점이 열린다.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접점이 닫힌다.
 
누름/안누름 상관없이 언제나 접점이 열린다.
 
누름/안누름 상관없이 언제나 접점이 닫힌다.
 

정답 : ① 누르고 있는 동안만 접점이 열린다. (2014년5회)
28. 
흡입배관에서 압력손실이 발생하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흡입압력의 저하
 
토출가스 온도의 상승
 
비체적 감소
 
체적효율 저하
 

정답 : ③ 비체적 감소 (2012년1회)
29. 
2단압축 2단팽창 냉동사이클을 모리엘 선도에 표시한 것이다. 각 상태에 대해 옳게 연결한 것은?
29.PNG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 : ③ - ⑦
 
증발기의 냉동효과 : ② - ⑨
 
팽창변 통과직후의 냉매위치 : ⑤, ⑥
 
응축기의 방출열량 : ⑧ - ②
 

정답 : ① 중간냉각기의 냉동효과 : ③ - ⑦ (2015년5회)
30. 
스윙(swing)형 체크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호칭치수가 큰 관에 사용된다.
 
유체의 저항이 리프트(lift)형보다 적다.
 
수평배관에만 사용할 수 있다.
 
핀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개폐한다.
 

정답 : ③ 수평배관에만 사용할 수 있다. (2016년2회)
31. 
2단 압축 1단 팽창 냉동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단 압축시스템에서 압축비가 작을 때
 
냉동부하가 감소하면 중간냉각기는 필요 없다.
 
단단 압축시스템보다 응축능력을 크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3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증발온도를 요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④ -30℃ 이하의 비교적 낮은 증발온도를 요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2015년4회)
32. 
냉동기유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냉동기유는 암모니아 냉매보다 가벼워 만액식 증발기의 냉매액면 위로 뜬다.
 
냉동기유는 저온에서 쉽게 응고 되지 않고 고온에서 쉽게 탄화되지 않아야 한다.
 
냉동기유의 탄화현상은 일반적으로 암모니아보다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자주 발생한다.
 
냉동기유는 증발하기 쉽고 열전도율 및 점도가 커야 한다.
 

정답 : ② 냉동기유는 저온에서 쉽게 응고 되지 않고 고온에서 쉽게 탄화되지 않아야 한다. (2011년4회)
33. 
4방 밸브를 이용하여 겨울에는 고온부 방출열로 난방을 행하고 여름에는 저온부로 열을 흡수하여 냉방을 행하는 장치는?
 
열펌프
 
열전 냉동기
 
증기분사 냉동기
 
공기사이클 냉동기
 

정답 : ① 열펌프 (2014년2회)
34. 
탱크형 증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만액식에 속한다.
 
주로 암모니아용으로 제빙용에 사용된다.
 
상부에는 가스헤드, 하부에는 액헤드가 존재한다.
 
브라인의 유동속도가 늦어도 능력에는 변화가 없다.
 

정답 : ④ 브라인의 유동속도가 늦어도 능력에는 변화가 없다. (2014년2회)
35. 
다음 중 쿨링 타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냉동장치에서 쿨링 타워를 설치하면 응축기는 필요 없다.
 
쿨링 타워에서 냉각된 물의 온도는 대기의 습구온도 보다 높다.
 
타워의 설치 장소는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는 곳이 적합하다.
 
송풍량을 많게 하면 수은이 내려가고 대기의 습구온도보다 낮아진다.
 

정답 : ② 쿨링 타워에서 냉각된 물의 온도는 대기의 습구온도 보다 높다. (2011년1회)
36. 
강관의 이음에서 지름이 서로 다른 관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이음쇠는?
 
캡(cap)
 
유니언(union)
 
리듀서(reducer)
 
플러그(plug)
 

정답 : ③ 리듀서(reducer) (2014년1회)
37. 
다음 그림은 무슨 냉동사이클 이라고 하는가?
 
2단 압축 1단 팽창 냉동사이클
 
2단 압축 2단 팽창 냉동사이클
 
2원 냉동사이클
 
강제 순환식 2단 사이클
 

정답 : ③ 2원 냉동사이클 (2012년4회)
38. 
동관 굽힘 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열관 굽힘시 큰 직경으로 관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관내에 모래를 넣어 굽힘 한다.
 
열간 굽힘시 가열온도는 100℃ 정도로 한다.
 
굽힘 가공성이 강관에 비해 좋다
 
연질관은 핸드벤더(hand bender)를 사용하여 쉽게 굽힐 수 있다.
 

정답 : ② 열간 굽힘시 가열온도는 100℃ 정도로 한다. (2013년1회)
39. 
컨덕턴스는 무엇을 뜻하는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위차를 얼마나 적게 나타내느냐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위차를 얼마나 크게 나타내느냐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정답 : ②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2015년2회)
40. 
프레온계 냉매용 횡형 셀 앤 튜브(shell and tube)식 응축기에서 냉각관의 설명으로서 맞는 것은?
 
재료는 강이고 냉각수축의 전열저항에 비해 냉매측의 전열저항이 매우 크므로 외축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 핀튜브가 사용된다.
 
재료는 동이고 냉각수축의 전열저항에 비해 냉매측의 전열저항이 매우 크므로 외축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 핀튜브가 사용된다.
 
재료는 강이고 냉각수축의 전열저항에 비해 냉매측의 전열저항이 매우 크므로 내측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 핀튜브가 사용된다.
 
재료는 동이고 냉각수축의 전열저항에 비해 냉매측의 전열저항이 매우 크므로 내측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 핀튜브가 사용된다.
 

정답 : ② 재료는 동이고 냉각수축의 전열저항에 비해 냉매측의 전열저항이 매우 크므로 외축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 핀튜브가 사용된다. (2011년5회)
41. 
다음 중 체크 밸브의 도시기호는?
 
 
 
 
 

정답 : ① (2011년4회)
42. 
냉동장치에서 압력과 온도를 낮추고 동시에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해 주는 곳은?
 
수액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정답 : ④ 팽창밸브 (2012년4회)
43. 
저항 3Ω과 유도 리액턴스 4Ω이 직렬로 접속된 회로의 역률은?
 
0.4
 
0.5
 
0.6
 
0.8
 

정답 : ③ 0.6 (2012년2회)
44. 
유분리기의 설치 위치로서 적당한 곳은?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
 
수액기와 증발기 사이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정답 : ①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2011년4회)
45.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온도가 -15℃이고 과열도가 5℃일 경우 압축기 흡입가스온도는?
 
5℃
 
-10℃
 
-15℃
 
-20℃
 

정답 : ② -10℃ (2015년2회)

공기조화

46. 
상대습도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습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의 양과 건조공기 양과의 중량비
 
습공기의 수증기압과 동일 온도에 있어서 포화공기의 수증기압의 비
 
포화상태의 수증기의 분량과의 비
 
습공기의 절대습도와 그와 동일 온도의 포화 습공기의 절대 습도의 비
 

정답 : ② 습공기의 수증기압과 동일 온도에 있어서 포화공기의 수증기압의 비 (2012년1회)
47. 
증기난방에 사용되는 부속기기인 감압밸브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감압밸브는 가능한 사용개소에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감압밸브로 응축수를 제거한 증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감압밸브 앞에는 반드시 스트레이너를 설치하도록 한다.
 
바이패스는 수평 또는 위로 설치하고, 감압밸브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으로 하거나 1차측 배관지름보다 한 치수 적은 것으로 한다.
 

정답 : ② 감압밸브로 응축수를 제거한 증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2016년2회)
48. 
송풍기의 풍량 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토출댐퍼 제어방식에서 토출댐퍼를 조이면 송풍량은 감소하나 출구 압력이 증가한다.
 
흡입 베인 제어 방식에서 흡입측 베인을 조금씩 닫으면 송풍량 및 출구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흡입 댐퍼 제어 방식에서 흡입댐퍼를 조이면 송풍량 및 송풍 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가변피치 제어 방식에서 피치각도를 증가시키면 송풍량은 증가 하지만 압력은 감소한다.
 

정답 : ① 토출댐퍼 제어방식에서 토출댐퍼를 조이면 송풍량은 감소하나 출구 압력이 증가한다. (2016년4회)
49. 
공기조화용 에어필터의 여과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중량법
 
비색법
 
계수법
 
용적법
 

정답 : ④ 용적법 (2014년4회)
50. 
송풍기의 정압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정압 = 동압 × 전압
 
정압 = 동압 ÷ 전압
 
정압 = 전압 - 동압
 
정압 = 동압 + 전압
 

정답 : ③ 정압 = 전압 - 동압 (2014년2회)
51. 
환기방법 중 제 1종 환기법으로 옳은 것은?
 
자연급기와 강제배기
 
강제급기와 자연배기
 
강제급기와 강제배기
 
자연급기와 자연배기
 

정답 : ③ 강제급기와 강제배기 (2016년4회)
52. 
다음 중 환기의 목적이 아닌 것은?
 
이산화탄소의 공급
 
신선한 공기의 공급
 
재실자의 건강, 안전, 쾌적, 작업 능률 등의 유지
 
공기환경의 악화로부터 제품과 주변기기 손상방지
 

정답 : ① 이산화탄소의 공급 (2011년2회)
53. 
펌프에서 흡입양정이 크거나 회전수가 고속일 경우 흡입관의 마찰저항 증가에 따른 압력강하로 수중에 다수의 기포가 발생되고 소음 및 진동이 일어나는 현상은?
 
플라이밍 현상
 
캐비테이션 현상
 
수격 현상
 
포밍 현상
 

정답 : ② 캐비테이션 현상 (2013년2회)
54. 
실내 현열 손실량이 5000kcal/b일 때, 실내온도를 20℃로 유지하기 위해 36℃ 공기 및 m3/h를 실내로 송풍해야 하는가? (단, 공기의 비중량은 1.2kgf/m3, 정압비열은 6.24kcaI/kg·℃이다.)
 
985m3/h
 
1085m3/h
 
1250m3/h
 
1350m3/h
 

정답 : ② 1085m3/h (2016년2회)
55. 
덕트 시공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덕트의 단면적비가 75% 이하의 축소부분은 압력손실을 적게하기 위해 30˚ 이하(고속덕트 에서는 15˚이하)로 한다.
 
덕트의 단면변화 시 정해진 각도를 넘을 경우에는 가이드 베인을 설치한다.
 
덕트의 단면적비가 75% 이하의 확대부분은 압력손실을 적게하기 위해 15˚ 이하(고속덕트 에서는 8˚이하)로 한다.
 
덕트의 경로는 될 수 있는 한 최장거리로 한다.
 

정답 : ④ 덕트의 경로는 될 수 있는 한 최장거리로 한다. (2013년4회)
56. 
습공기 선도에서 표시되어 있지 않은 값은?
 
건구온도
 
습구온도
 
엔탈피
 
엔트로피
 

정답 : ④ 엔트로피 (2014년2회)
57. 
건물 내 장소에 따라 부하변동의 상황이 달라질 경우, 구역구분을 통해 구역마다 공조기를 설치하여 부하처리를 하는 방식은?
 
단일덕트 재열방식
 
단일덕트 변풍량방식
 
단일덕트 정풍량방식
 
단일덕트 각층유닛방식
 

정답 : ③ 단일덕트 정풍량방식 (2014년4회)
58. 
다음 중 개별 공기조화 방식은?
 
패키지유닛 방식
 
단일덕트 방식
 
팬코일유닛 방식
 
멀티존 방식
 

정답 : ① 패키지유닛 방식 (2012년2회)
59. 
밀폐식 수열원 히트 펌프 유닛방식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닛마다 제어기구가 있어 개별운전이 가능하다.
 
냉·난방부하를 동시에 발생하는 건물에서 열회수가 용이하다.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중앙 기계실에 냉동기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면적상 유리하다.
 

정답 : ③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2013년2회)
60. 
송풍기의 특성곡선에 나타나 있지 않는 것은?
 
효율
 
축동력
 
전압
 
풍속
 

정답 : ④ 풍속 (2013년5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