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과기능사 필기 [0525]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제과기능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제과기능사 시험과목은 " 제조이론, 재료과학, 영양학, 식품위생학 " 총 4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제조이론
1.
일반적인 과자반죽의 결과 온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10 ~ 13℃
②
22~ 24 ℃
③
26 ~ 28℃
④
32 ~ 34 ℃
정답 : ② 22~ 24 ℃ (2010년4회)
2.
반죽형 쿠키 중 수분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쿠키는?
①
쇼트 브레드 쿠키
②
드롭 쿠키
③
스냅 쿠키
④
스펀지 쿠키
정답 : ② 드롭 쿠키 (2005년4회)
3.
비상스트레이법 반죽의 가장 적합한 온도는?
①
15℃
②
20℃
③
30℃
④
40℃
정답 : ③ 30℃ (2009년1회)
4.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의 제과점에서 사용하는 믹서는?
①
수직형 믹서
②
수평형 믹서
③
초고속 믹서
④
커터 믹서
정답 : ① 수직형 믹서 (2011년1회)
5.
일반적인 스펀지도우법으로 식빵을 만들 때 도우반죽(dough mixing)의 가장 적당한 온도는?
①
17℃ 정도
②
27℃ 정도
③
37℃ 정도
④
47℃ 정도
정답 : ② 27℃ 정도 (2004년1회)
6.
도넛의 설탕이 수분을 흡수하여 녹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①
도넛에 묻는 설탕의 양을 증가시킨다.
②
튀김시간을 증가시킨다.
③
포장용 도넛의 수분은 38% 전후로 한다.
④
냉각 중 환기를 더 많이 시키면서 충분히 냉각한다.
정답 : ③ 포장용 도넛의 수분은 38% 전후로 한다. (2010년2회)
7.
유화쇼트닝을 60% 사용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 배합에 32%의 초콜릿을 넣어 초콜릿 케이크를 만들 때 원래의 쇼트닝 60%는 얼마로 조절해야 하는가?
①
48 %
②
54 %
③
60 %
④
72 %
정답 : ② 54 % (2002년4회)
8.
케이크 반죽의 pH가 적정 범위를 벗어나 너무 알칼리 쪽에 있는 경우의 제품은?
①
부피가 작다.
②
향이 약하다.
③
껍질색이 여리다.
④
기공이 거칠다.
정답 : ④ 기공이 거칠다. (2002년2회)
9.
케이크 반죽이 30ℓ 용량의 그릇 10개에 가득 차있다. 이것으로 분할 반죽 300g 짜리 600개를 만들었다.이 반죽의 비중은?
①
0.8
②
0.7
③
0.6
④
0.5
정답 : ③ 0.6 (2011년5회)
10.
스펀지법에서 사용할 물의 온도는? (원하는 반죽온도 : 26℃, 마찰계수 : 20, 실내온도 : 26℃,스펀지, 반죽온도 : 28℃, 밀가루온도 : 21℃)
①
19℃
②
9℃
③
-21℃
④
-16℃
정답 : ② 9℃ (2003년1회)
11.
다음 중 익히는 방법이 다른 것은?
①
찐빵
②
엔젤푸드케이크
③
스펀지케이크
④
파운드케이크
정답 : ① 찐빵 (2006년2회)
12.
케이크 도넛은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10~15분의 휴지시간(floor time)을 갖는 휴지를 잘못하였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부피의 감소
②
제품모양의 불균형
③
과도한 지방흡수
④
진한 껍질색
정답 : ④ 진한 껍질색 (2006년2회)
13.
다음 중 가장 고온에서 굽는 제품은?
①
파운드 케이크
②
시퐁 케이크
③
퍼프 페이스트리
④
과일 케이크
정답 : ③ 퍼프 페이스트리 (2009년5회)
14.
찜류 또는 찜만쥬 등에 사용하는 팽창제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팽창력이 강하다.
②
제품의 색을 희게 한다.
③
암모니아 냄새가 날 수 있다.
④
중조와 산제를 이용한 팽창제이다.
정답 : ④ 중조와 산제를 이용한 팽창제이다. (2010년5회)
15.
스펀지케이크 제조시 계란의 사용량을 줄이려고 한다.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을 조금 더 사용한다.
②
유화제를 더 사용한다.
③
밀가루 사용량을 줄인다.
④
베이킹 파우더 사용량을 늘인다.
정답 : ③ 밀가루 사용량을 줄인다. (2006년4회)
16.
다음 중 버터크림 당액 제조 시 설탕에 대한 물 사용량으로 알맞은 것은?
①
25%
②
80%
③
100%
④
125%
정답 : ① 25% (2010년5회)
17.
다음 중 식빵의 껍질색이 너무 옅은 결점의 원인은?
①
연수사용
②
설탕사용 과다
③
과도한 굽기
④
과도한 믹싱
정답 : ① 연수사용 (2007년1회)
18.
제빵시 적량보다 많은 분유를 사용했을 때의 결과 중 잘못된 것은?
①
양옆면과 바닥이 움푹 들어가는 현상이 생김
②
껍질색은 캐러맬화에 의하여 검어짐
③
모서리가 예리하고 터지거나 슈레드가 적음
④
세포벽이 두꺼우므로 황갈색을 나타냄
정답 : ① 양옆면과 바닥이 움푹 들어가는 현상이 생김 (2005년5회)
19.
반죽형 케이크의 평가이다. 다음 중 결점과 원인을 잘못 짝지은 것은?
①
교율배합 케이크의 부피가 작다. - 설탕과 액체재료의 사용량이 적었다.
②
굽는 동안 부풀어 올랐다가 가라앉는다. - 설탕과 팽창제 사용량이 많았다.
③
케이크 껍질에 반점이 생겼다. - 입자가 굵고 크기가 서로 다른 설탕을 사용했다.
④
케이크가 단단하고 질기다. - 고율배합 케이크에 맞지 않은 밀가루를 사용했다.
정답 : ① 교율배합 케이크의 부피가 작다. - 설탕과 액체재료의 사용량이 적었다. (2005년1회)
20.
제빵시 탈지분유를 1% 증가시 마다 몇 %의 흡수량이 증가되는가?
①
1%
②
3%
③
5%
④
7%
정답 : ① 1% (2003년1회)
재료과학
21.
대량 생산 공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오븐으로 반죽이 들어가는 입구와 제품이 나오는 입구가 다른 오븐으로 통과되는 속도와 온도가 중요시 되는 오븐은?
①
데크오븐(Deck oven)
②
터널오븐(Tunnel oven)
③
컨벡션오븐(Convection oven)
④
로터리 래크 오븐(Rotary rack oven)
정답 : ② 터널오븐(Tunnel oven) (2002년3회)
22.
발효 전 무게는 1600g, 발효 후 무게가 1578g 일 때 발효 손실은?
①
0.98%
②
1.375%
③
1.98%
④
2.375%
정답 : ② 1.375% (2007년4회)
23.
굽기 중에 일어나는 변화로 가장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것은?
①
이스트의 사멸
②
전분의 호화
③
탄산가스 용해도 감소
④
단백질 변성
정답 : ④ 단백질 변성 (2008년1회)
24.
여름철에 빵의 부패 원인균의 곰팡이 및 세균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①
작업자 및 기계, 기구를 청결히 하고 공장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②
이스트 첨가량을 늘리고 발효온도를 약간 낮게 유지하면서 충분히 굽는다.
③
초산, 젖산 및 사워 등을 첨가하여 반죽은 ph를 낮게 유지한다.
④
보존료인 소르빈산을 반죽에 첨가한다.
정답 : ④ 보존료인 소르빈산을 반죽에 첨가한다. (2010년4회)
25.
빵 굽기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높은 온도에서 구울 때 오버 베이킹이 된다.
②
고율배합의 빵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굽는다.
③
너무 뜨거운 오븐은 빵의 부피가 적고 껍질이 진하다.
④
잔당 함유량이 높은 어린반죽은 낮은 온도에서 굽는다.
정답 : ① 높은 온도에서 구울 때 오버 베이킹이 된다. (2008년4회)
26.
빵 제품의 노화(Stal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제품이 오븐에서 나온 후부터 서서히 진행된다.
②
소화흡수에 영향을 준다.
③
내부 조직이 단단해진다.
④
지연시키기 위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④ 지연시키기 위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2007년2회)
27.
정형과정의 마지막인 팬닝 과정은 반죽을 철판이나 틀에 담는 과정을 말한다. 팬닝시 틀의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20℃
②
32℃
③
55℃
④
70℃
정답 : ② 32℃ (2002년3회)
28.
이형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틀을 실리콘으로 코팅하면 이형유 사용을 줄일 수 있다.
②
이형유는 발연점이 높은 기름을 사용한다.
③
이형유 사용량은 반죽무게에 대하여 0.1~0.2% 정도이다.
④
이형유 사용량이 많으면 밑껍질이 얇아지고 색상이 밝아진다.
정답 : ④ 이형유 사용량이 많으면 밑껍질이 얇아지고 색상이 밝아진다. (2007년5회)
29.
미국식 데니시 페이스트리 제조시 반죽무게에 대한 충전용 유지(롤인유지)의 사용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10~15%
②
20~40%
③
45~60%
④
60~80%
정답 : ② 20~40% (2009년4회)
30.
둥글리기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글루텐의 구조와 방향 정돈
②
수분 흡수력 증가
③
반죽의 기공을 고르게 유지
④
반죽 표면에 얇은 막 형성
정답 : ② 수분 흡수력 증가 (2008년1회)
영양학
31.
다음 영양소 중 1차, 2차, 3차, 4차 구조를 가진 물질은?
①
탄수화물
②
단백질
③
지질
④
무기질
정답 : ② 단백질 (2003년1회)
32.
아밀로그래프(Amylograph)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반죽의 신장성 측정
②
아밀라아제 활성 측정
③
빵의 내상에 큰 영향
④
400 - 600 B.U가 적당
정답 : ① 반죽의 신장성 측정 (2003년1회)
33.
쵸콜릿을 템퍼링한 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입안에서의 용해성은 나쁘다.
②
광택이 좋고 내부 조직이 조밀하다.
③
팻 브룸(fat bloom)이 일어나지 않는다.
④
안정한 결정이 많고 결정형이 일정하다.
정답 : ① 입안에서의 용해성은 나쁘다. (2006년2회)
34.
비타민과 관련된 결핍증의 연결이 틀린 것은?
①
비타민 A - 야맹증
②
비타민 B1-구내염
③
비타민 C - 괴혈병
④
비타민 D - 구루병
정답 : ② 비타민 B1-구내염 (2009년4회)
35.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포화 지방산은 이중결합을 함유하고 있다.
②
포화 지방산은 할로겐이나 수소첨가에 따라 불포화 될 수 있다.
③
코코넛 기름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더 높은 비율로 들어 있다.
④
식물성 유지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더 높은 비율로 들어 있다.
정답 : ④ 식물성 유지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더 높은 비율로 들어 있다. (2003년2회)
36.
제빵에서 밀가루 , 이스트 , 물과 함께 기본적인 필수재료는?
①
분유
②
유지
③
소금
④
설탕
정답 : ③ 소금 (2007년2회)
37.
제빵 적성에 맞지 않는 밀가루는?
①
글루텐의 질이 좋고 함량이 많은 것
②
프로테아제의 함량이 많은 것
③
제분 직후 30 ~ 40일 정도의 숙성기간이 지난 것
④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큰 것
정답 : ② 프로테아제의 함량이 많은 것 (2004년2회)
38.
식품향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자연향료는 자연에서 채취한 후 추출, 정재, 농축, 분리 과정을 거쳐 얻는다.
②
합성향료는 석유 및 석탄류에 포함되어 있는 방향성유기물질로부터 합성하여 만든다.
③
조합향료는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하여 양자 간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④
식품에 사용하는 향료는 첨가물이지만, 품질, 규격 및 사용법을 존수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④ 식품에 사용하는 향료는 첨가물이지만, 품질, 규격 및 사용법을 존수하지 않아도 된다. (2009년2회)
39.
제빵에서의 수분 분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물이 반죽에 균일 하게 분산되는 시간은 보통 10분정도이다.
②
1차 발효와 2차 발효를 거치는 동안 반죽은 다소 건조하게 된다.
③
반죽 내 수분은 굽는 동안 증발되어 최종 제품에는 35% 정도 남게 된다.
④
소금은 글루텐을 단단하게 하여 글루텐 흡수량의 약 8%를 감소시킨다.
정답 : ② 1차 발효와 2차 발효를 거치는 동안 반죽은 다소 건조하게 된다. (2002년3회)
40.
중성 용매에 녹지 않고 묽은 산, 묽은 염기에 녹는 단백질로 밀에 존재하는 단순 단백질은?
①
글리아딘
②
글루테닌
③
오브알부민
④
락토글로블린
정답 : ② 글루테닌 (2007년1회)
41.
20대 한남성의 하루 열량 섭취량을 2500kcal로 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1일 지방 섭취량은?
①
약 10~40g
②
약 40~70g
③
약 70~100g
④
약 100~130g
정답 : ② 약 40~70g (2007년5회)
42.
제빵 제조시 물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글루텐 형성을 돕는다.
②
반죽온도를 조절한다.
③
이스트 먹이 역할을 한다.
④
효소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정답 : ③ 이스트 먹이 역할을 한다. (2010년2회)
43.
지방의 연소와 합성이 이루어지는 장기는?
①
췌장
②
간
③
위장
④
소장
정답 : ② 간 (2010년5회)
44.
베이킹파우더에 들어 있는 다음 산성물질 중 가장 작용이 빠른 것은?
①
주석산
②
제일인산칼슘
③
소명반
④
산성피로인산나트륨
정답 : ① 주석산 (2002년3회)
45.
다른 식물성 식품보다 대두에서 비교적 많이 얻을 수 있는 영양소는?
①
물
②
탄수화물
③
단백질
④
비타민
정답 : ③ 단백질 (2003년3회)
46.
믹서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성질을 파동 곡선기록기로 기록하여 밀가루의 흡수율, 믹싱시간, 믹싱 내구성 등을 측정하는 기계는?
①
패리노그래프
②
익스텐소그래프
③
아밀로그래프
④
분광분석기
정답 : ① 패리노그래프 (2009년5회)
47.
제빵용 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연수(1∼60ppm)
②
아연수(61∼120ppm)
③
아경수(121∼180ppm)
④
경수(180ppm 이상)
정답 : ③ 아경수(121∼180ppm) (2004년4회)
48.
제빵에 가장 적합한 물의 광물질 함량은?
①
1~60ppm
②
60~120ppm
③
120~180ppm
④
180ppm 이상
정답 : ③ 120~180ppm (2007년5회)
49.
지용성 비타민과 관계있는 물질은?
①
L-ascorbic acid
②
β-carotene
③
Niacin
④
Thiamin
정답 : ② β-carotene (2002년4회)
50.
유지에 가소성을 주는 지방 결정체는 자연계에서 여러 가지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다음 중 융점이 가장 높은 형태는?
①
알파(α)형
②
베타(β)형
③
베타프라임(β′)형
④
감마(γ)형
정답 : ② 베타(β)형 (2002년2회)
식품위생학
51.
다음 전염병 중 바이러스가 원인인 것은?
①
간염
②
장티푸스
③
파라티푸스
④
콜레라
정답 : ① 간염 (2008년2회)
52.
식품위생 검사의 종류로 틀린 것은?
①
화학적 검사
②
관능 검사
③
혈청학적 검사
④
물리학적 검사
정답 : ③ 혈청학적 검사 (2009년2회)
53.
미나마타병(Minamata disease)의 원인물질은?
①
카드뮴
②
납
③
수은
④
비소
정답 : ③ 수은 (2007년5회)
54.
아플라톡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은?
①
곰팡이
②
바이러스
③
효모
④
세균
정답 : ① 곰팡이 (2004년5회)
55.
인축공통 전염병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콜레라, 장티푸스
②
탄저, 리스테리아증
③
결핵, 유행성 간염
④
홍역, 브루셀라증
정답 : ② 탄저, 리스테리아증 (2005년5회)
56.
주로 냉동된 육류 등 저온에서도 생존력이 강하고 수막염이나 임신부의 자궁 내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식중독균은?
①
대장균
②
살모넬라균
③
리스테리아균
④
포도상구균
정답 : ③ 리스테리아균 (2011년4회)
57.
장티푸스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급성 전신성 열성질환
②
급성 이완성 마비질환
③
급성 간염 질환
④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
정답 : ① 급성 전신성 열성질환 (2006년1회)
58.
세균이 분비한 독소에 의해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①
감염형 세균성 식중독
②
독소형 세균성 식중독
③
화학성 식중독
④
진균독 식중독
정답 : ② 독소형 세균성 식중독 (2007년1회)
59.
질병 발생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①
병인
②
환경
③
숙주
④
항생제
정답 : ④ 항생제 (2005년2회)
60.
식품 첨가물 중 표백제가 아닌 것은?
①
소르빈산칼륨
②
과산화수소
③
산성아황산나트륨
④
차아황산나트륨
정답 : ① 소르빈산칼륨 (2003년2회)
반응형
'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조경기능사 필기 [0525] 기출문제 모의고사 (2) | 2023.05.25 |
|---|---|
| 제빵기능사 필기 [0525] 기출문제 모의고사 (3) | 2023.05.25 |
|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0525]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5.25 |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0525]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5.25 |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0525]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5.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