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0628]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유기농업기능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유기농업기능사 시험과목은 " 작물재배, 토양관리, 유기농업일반 "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작물재배
1.
종자의 발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발아시(發芽始)는 파종된 종자 중에서 최초 1개체가 발아한 날이다.
②
발아기(發芽期)는 전체종자수의 약 50%가 발아한 날이다.
③
발아전(發芽媊)은 종자의 대부분(80%이상)이 발아한 날이다.
④
발아일수(發芽日數)는 파종기부터 발아 전까지의 일수이다.
정답 : ④ 발아일수(發芽日數)는 파종기부터 발아 전까지의 일수이다. (2009년4회)
2.
도복 방지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키가 작고 대가 튼튼한 품종을 재배한다.
②
서로 지지가 되게 밀식한다.
③
칼리질 비료를 사용한다.
④
규산질 비료를 사용한다.
정답 : ② 서로 지지가 되게 밀식한다. (2013년1회)
3.
재배환경 중 온도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①
작물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유효온도라고 한다.
②
작물의 생육단계 중 생식생장기간 동안에 소요되는 총온도량을 적산온도라고 한다.
③
온도가 1℃ 상승하는데 따르는 이화학적 반응이나 생리작용의 증가배수를 온도계수라고 한다.
④
일변화는 작물의 결실을 저해한다.
정답 : ① 작물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유효온도라고 한다. (2013년1회)
4.
다음 중 중경의 효과가 아닌 것은?
①
발아의 조장
②
제초효과
③
토양 수분손실
④
토양 물리성 개선
정답 : ③ 토양 수분손실 (2012년4회)
5.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수분의 형태는?
①
흡습수
②
모관수
③
중력수
④
결합수
정답 : ② 모관수 (2014년2회)
6.
작물의 분화과정이 옳은 것은?
①
유전적 변이 → 고립 → 도태와 적용
②
유전적 변이 → 도태와 적응 → 고립
③
도태와 적응 → 고립 → 유전적 변이
④
도태와 적응 → 유전적 변이 → 고립
정답 : ② 유전적 변이 → 도태와 적응 → 고립 (2015년4회)
7.
작물의 적산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작물의 생육시기와 생육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다.
②
작물의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나타낸다.
③
작물이 일생을 마치는데 소요되는 총온량을 표시한다.
④
작물의 발아로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0℃ 이상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이다.
정답 : ② 작물의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나타낸다. (2016년4회)
8.
다음에서 설명한 것은?
- 단백질, 아미노산, 효소 등의 구성성분으로 엽록소의 형성에 관여한다. - 체내 이동성이 낮다. - 결핍증세는 새 조직에서 먼저 나타난다. |
①
Fe
②
Mg
③
Mn
④
S
정답 : ④ S (2016년2회)
9.
우리나라 맥류재배 포장에서 나타나는 광엽월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①
바랭이
②
벼룩나물
③
냉이
④
갈퀴덩굴
정답 : ① 바랭이 (2010년4회)
10.
종자의 활력을 검사하려고 할 때 테트라졸륨 용액에 종자를 담그면 씨눈 부분에만 색깔이 나타나는 작물이 아닌 것은?
①
벼
②
옥수수
③
보리
④
콩
정답 : ④ 콩 (2012년4회)
11.
벼 등 화곡류가 등숙기에 비, 바람에 의해서 쓰러지는 것을 도복이라고 한다. 도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키가 작은 품종일수록 도복이 심하다.
②
밀식, 질소다용, 규산부족 등은 도복을 조장한다.
③
벼 재배시 벼멸구, 문고병이 많이 발생되면 도복이 심하다.
④
벼는 마지막 논김을 맬 때 배토를 하면 도복이 경감된다.
정답 : ① 키가 작은 품종일수록 도복이 심하다. (2009년4회)
12.
휘묻이 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당목취법
②
선취법
③
파상취목법
④
고취법
정답 : ④ 고취법 (2008년4회)
13.
토양입단 형성에 알맞은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유기물 시용
②
석회 시용
③
토양의 피복
④
질산나트륨 시용
정답 : ④ 질산나트륨 시용 (2016년4회)
14.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작은 것은?
①
호박
②
완두
③
클로버
④
수수
정답 : ④ 수수 (2016년2회)
15.
작물에 유익한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아닌 것은?
①
유기물의 분해
②
유리질소의 고정
③
길항작용
④
탈질작용
정답 : ④ 탈질작용 (2015년4회)
16.
탄산시비란?
①
토양산도를 교정하기 위하여 토양에 탄산칼슘을 넣어 주는 것
②
시설재배에서 시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인위적으로 높여주는 것
③
산업폐기물로 나오는 탄산가스의 처리와 관련하여 생기는 사회 문제
④
양액재배에서 양액의 탄산가스 농도를 높여 야간 호흡을 억제하는 것
정답 : ② 시설재배에서 시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인위적으로 높여주는 것 (2011년2회)
17.
벼의 이앙재배에 비해 직파재배의 가장 큰 장점은?
①
잡초방제가 용이하다.
②
쌀의 품질이 향상된다.
③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④
종자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③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2011년2회)
18.
2광(light)과 작물생리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광합성에 주로 이용되는 파장역은 300~400nm이다.
②
광합성 속도는 광의 세기 이외에 온도, CO2, 풍속에도 영향을 받는다.
③
광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의 광합성 속도는 광포화점 까지 증가한다.
④
녹색광(500~600nm)은 투과 또는 반사하여 이용률이 낮다.
정답 : ① 광합성에 주로 이용되는 파장역은 300~400nm이다. (2013년2회)
19.
다음 중 경작지 전체를 3등분하여 매년 1/3씩 경작지를 휴한(休閑)하는 작부 방식은?
①
3포식 농법
②
이동 경작 농법
③
자유경작 농법
④
4포식 농법
정답 : ① 3포식 농법 (2012년4회)
20.
병해충 종합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효과범위가 넓은 약제를 살포하여 여러가지 병해충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다.
②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천적만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제 할 수 있다.
③
생물학적, 경종적 방법 등을 이용하고 농약살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④
병해충에 강하도록 작물의 유전자를 변형하여 병해충을 방제 할 수 있다
정답 : ③ 생물학적, 경종적 방법 등을 이용하고 농약살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2010년2회)
토양관리
21.
토양단면에서 유기물의 분해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층위(F층)와 부식화가 진행된 층위(H층)가 존재하는 토양의 층은?
①
유기물층 (0층)
②
용탈층 (A층)
③
집적층 (B층)
④
모재층 (C층)
정답 : ① 유기물층 (0층) (2009년4회)
22.
대표적인 혼층형 광물로서 2 : 1 : 1 의 비팽창형 광물은?
①
chlorite
②
vermiculite
③
illite
④
montmorillonite
정답 : ① chlorite (2015년4회)
23.
질산화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논토양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②
암모늄태 질소가 산화되는 작용이다.
③
결과적으로 질소의 이용률이 증가한다.
④
사상균과 방사상균들에 의해 일어난다.
정답 : ② 암모늄태 질소가 산화되는 작용이다. (2012년4회)
24.
용탈층에서 이화학적으로 용탈ㆍ분리되어 내려오는 여러 가지 물질이 침전ㆍ집적되는 토양 층위는?
①
유기물층
②
모래층
③
집적층
④
암반
정답 : ③ 집적층 (2008년2회)
25.
미사와 점토가 많은 논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가능한 산화상태 유지를 위해 논상태로 월동시켜 생산량을 증대시킨다.
②
유기물을 많이 사용하면 양분집적으로 인해 생산량이 떨어진다.
③
월동기간에 논상태인 습답을 춘경하면 양분손실이 생기므로 추경해야 양분손실이 적다.
④
완숙 유기물 등을 처리한 후 심경화여 통기 및 투수성을 증대시킨다.
정답 : ④ 완숙 유기물 등을 처리한 후 심경화여 통기 및 투수성을 증대시킨다. (2008년4회)
26.
호기적 조건에서 단독으로 질소고정작용을 하는 토양 미생물 속은?
①
아조토박터(Azotobacter)
②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③
라조비움(Rhizobium)
④
프랭키아(Frankia)
정답 : ① 아조토박터(Azotobacter) (2008년4회)
27.
토양 중의 입자밀도가 동일할 때 공극율이 가장 큰 용적밀도는?
①
1.15g/cm3
②
1.25g/cm3
③
1.35g/cm3
④
1.45g/cm3
정답 : ① 1.15g/cm3 (2015년1회)
28.
우리나라 토양에 많이 분포한다고 알려진 점토광물은?
①
카올리나이트
②
일라이트
③
버미큘라이트
④
몬모릴로나이트
정답 : ① 카올리나이트 (2008년4회)
29.
다음 중 논토양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광범위한 환원층이 발달한다.
②
연작장해가 나타나지 않는다.
③
철이 쉽게 용탈된다.
④
산성 피해가 잘 나타난다.
정답 : ④ 산성 피해가 잘 나타난다. (2012년4회)
30.
다우·다습한 열대지역에서 화강암과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이 유년기를 거쳐 노년기에 이르게 되었을 때의 토양 반응은?
①
화강암에서 유래된 토양은 산성이고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은 알칼리성이다.
②
화강암에 유래된 토양도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도 모두 산성을 나타낼 수 있다.
③
화강암에 유래된 토양도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도 모두 알칼리성을 나타낼 수 있다.
④
화강암에서 유래된 토양은 알칼리성이고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은 산성이다.
정답 : ② 화강암에 유래된 토양도 석회암에서 유래된 토양도 모두 산성을 나타낼 수 있다. (2011년4회)
31.
다음 중 점토가 가장 많이 들어 있는 토양은?
①
식양토
②
식토
③
양토
④
사양토
정답 : ② 식토 (2016년1회)
32.
토양입자의 크기가 갖는 의미로 틀린 것은?
①
토양의 모래·미사, 점토함량을 알면 토양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다.
②
모래함량이 많은 토양은 배수성과 투수성이 크지만 양분을 보유하는 힘이 약하다.
③
미사가 많은 토양은 배수성과 양분보유능이 매우 크다.
④
점토가 많은 토양은 양분과 수분을 보유하는 힘은 강하지만 배수성은 매우 나빠진다.
정답 : ③ 미사가 많은 토양은 배수성과 양분보유능이 매우 크다. (2015년4회)
33.
다음 영농활동 중 토양미생물의 밀도와 활력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은?
①
유기물 시용
②
상하경 재배
③
농약살포
④
무비료재배
정답 : ① 유기물 시용 (2014년1회)
34.
논 토양과 밭 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밭 토양은 불포화 수분상태로 논에 비해 공기가 잘 소통된다.
②
특이산성 논 토양은 물에 잠긴 기간이 길수록 토양 pH가 올라간다.
③
물에 잠긴 논 토양은 산화층과 환원층으로 토층이 분화한다.
④
밭 토양에서 철은 환원되기 쉬우므로 토양은 회색을 띤다.
정답 : ④ 밭 토양에서 철은 환원되기 쉬우므로 토양은 회색을 띤다. (2014년2회)
35.
토양 침식 중 수식(水蝕)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경사도
②
강우량
③
지표 식생특성
④
심토내 점토함량
정답 : ④ 심토내 점토함량 (2009년4회)
36.
운적토는 풍화물이 중력, 풍력, 수력, 빙하력 등에 의하여 다른 곳으로 운반되어 퇴적하여 생성된 토양이다. 다음 중 운적토양이 아닌 것은?
①
붕적토
②
선상퇴토
③
이탄토
④
수적토
정답 : ③ 이탄토 (2014년1회)
37.
토양의 입자밀도가 2.65g/cm3, 용적밀도가 1.45g/cm3인 토양의 공극률은?
①
약 30%
②
약 45%
③
약 60%
④
약 75%
정답 : ② 약 45% (2011년2회)
38.
토양의 질소 순환작용에 작용과 반대작용으로 바르게 짝지어져 있는 것은?
①
질산환원작용 - 질소고정작용
②
질산화작용 - 질산환원작용
③
암모늄화작용 - 질산환원작용
④
질소고정작용 – 유기화작용
정답 : ② 질산화작용 - 질산환원작용 (2014년2회)
39.
질소와 인산에 의한 토양의 오염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광산폐수
②
공장폐수
③
축산폐수
④
가정하수
정답 : ① 광산폐수 (2014년2회)
40.
토양미생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으로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①
영양분
②
토양온도
③
토양 pH
④
점토함량
정답 : ④ 점토함량 (2014년4회)
유기농업일반
41.
유기사료에 첨가해도 되는 것은?
①
가축의 대사기능 촉진을 위한 합성화합물
②
비단백태질소화합물
③
성장촉진제
④
순도 99% 이상인 골분
정답 : ④ 순도 99% 이상인 골분 (2016년4회)
42.
다음 중 붕소의 일반적인 결핍이 아닌 것은?
①
사탕무의 속썪음병
②
셀러리의 줄기쪼김병
③
사과의 적진병
④
담배의 끝마름병
정답 : ③ 사과의 적진병 (2015년4회)
43.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있어 올바른 잡초 제어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멀칭을 한다.
②
손으로 잡초를 뽑는다.
③
화학 제초제를 사용한다.
④
적절한 윤작을 통하여 잡초 생장을 억제한다.
정답 : ③ 화학 제초제를 사용한다. (2013년2회)
44.
우량종자의 증식체계로 옳은 것은?
①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②
기본식물 → 원종 → 원원종 → 보급종
③
원원종 → 원종 → 기본식물 → 보급종
④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 기본식물
정답 : ①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2014년1회)
45.
다수성 품종을 육종하기 위하여 집단육종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때 집단육종법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①
잡종강세가 강하게 나타남
②
선발개체 후대에서 분리가 적음
③
각 세대별 유지하는 개체수가 적은 편임
④
우량형질의 자연도태가 거의 없음
정답 : ② 선발개체 후대에서 분리가 적음 (2008년2회)
46.
볍씨 소독으로 방제하기 곤란한 병은?
①
잎집무늬마름병
②
깨씨무늬병
③
키다리병
④
도열병
정답 : ① 잎집무늬마름병 (2016년1회)
47.
과수재배를 위한 토양관리방법 중 토양표면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복원 오류로 문제 및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①
초생법(草生法)은 토양의 입단구조를 파괴하기 쉽고 과수의 뿌리에 장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다.
②
청경법(淸耕法)은 지온의 과도한 상승 및 저하를 감소시키며, 토양을 입단화(粒團化)하고 강우직후에도 농기계의 포장내(圃場內)운행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③
복원중
④
초생법(草生法)은 토양 중의 질산태질소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정답 : ④ 초생법(草生法)은 토양 중의 질산태질소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2011년4회)
48.
벼가 영년 연작이 가능한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생육기간이 짧기 때문에
②
담수조건에서 재배하기 때문에
③
연작에 견디는 품종적 특성 때문에
④
다양한 종류의 비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답 : ② 담수조건에서 재배하기 때문에 (2016년1회)
49.
작물의 육종목표 중 환경친화형과 관련되는 것은?
①
수량성
②
기계화 적성
③
품질 적성
④
병해충 저항성
정답 : ④ 병해충 저항성 (2013년2회)
50.
작물 생산시 작물의 병저항성 증가를 위한 친환경적 경종 방법이 아닌 것?
①
적절한 갱신작업 및 토양 pH 적정화를 유도한다.
②
물리ㆍ화학적 으로 안정된 토양을 사용하고 개선한다.
③
적절한 관수를 실시하고 환기상태를 개선한다.
④
구리나 크롬이 함유된 관계수를 사용하여 보수성을 증가시킨다.
정답 : ④ 구리나 크롬이 함유된 관계수를 사용하여 보수성을 증가시킨다. (2008년4회)
51.
일대잡종(F1) 품종이 갖고 있는 유전적 특성은?
①
잡종강세
②
근교약세
③
원연교잡
④
자식열세
정답 : ① 잡종강세 (2013년2회)
52.
윤작의 기능과 효과가 아닌 것은?
①
수량증수와 품질이 향상된다.
②
환원 가능 유기물이 확보된다.
③
토양의 통기성이 개선된다.
④
토양의 단립화(單粒化)를 만든다.
정답 : ④ 토양의 단립화(單粒化)를 만든다. (2011년4회)
53.
다음 중 유기농업이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주된 이유는?
①
모양이 좋기 때문에
②
안전한 농산물이기 때문에
③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④
사시사철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 : ② 안전한 농산물이기 때문에 (2016년1회)
54.
시설재배 토양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①
염류농도가 높다.
②
토양 pH는 밭토양보다 낮다.
③
미량원소가 결핍되기 쉽다.
④
연작장해가 많이 발생한다.
정답 : ② 토양 pH는 밭토양보다 낮다. (2014년4회)
55.
유기사료의 수급에 관한 문제로 부적당한 것은?
①
목초의 생산기반을 확장해야 한다.
②
유기목초 종자 및 생산기술을 수립해야 한다.
③
초지접근성 및 유기방목기술을 수립해야 한다.
④
조사료보다는 농후사료 자급기반을 확충해야 한다.
정답 : ④ 조사료보다는 농후사료 자급기반을 확충해야 한다. (2010년4회)
56.
우렁이농법에 의한 유기벼 재배에서 우렁이 방사에 의해 주로 기대되는 효과는?
①
잡초방제
②
유기물 대량공급
③
해충방제
④
양분의 대량공급
정답 : ① 잡초방제 (2011년2회)
57.
온실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설농업으로 겨울철 채소를 생산하는 효과이다.
②
대기 중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져 대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③
산업발달로 공장 및 자동차의 매연가스가 온실효과를 유발한다.
④
온실효과가 지속된다면 생태계의 변화가 생긴다.
정답 : ① 시설농업으로 겨울철 채소를 생산하는 효과이다. (2013년1회)
58.
퇴비제조 과정에서 재료가 거무스름하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이유에 해당되는 것은?
①
퇴비더미 구조와 통기가 거의 희박하기 때문이다.
②
C/N율이 높기 때문이다.
③
퇴비재료가 건조하기 때문이다.
④
퇴비재료가 잘 섞였기 때문이다.
정답 : ① 퇴비더미 구조와 통기가 거의 희박하기 때문이다. (2015년4회)
59.
엽록소를 형성하고 잎의 색이 녹색을 띠는데 필요하며, 단백질 합성을 위한 아미노산의 구성 성분은?
①
질소
②
인산
③
칼륨
④
규산
정답 : ① 질소 (2015년1회)
60.
소의 사료는 기본적으로 어떤 것을 급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①
곡류
②
박류
③
강피류
④
조사료
정답 : ④ 조사료 (2013년2회)
728x90
'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 필기 [0630]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6.30 |
---|---|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0629]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6.29 |
위험물기능사 필기 [0627]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6.27 |
웹디자인기능사 필기 [0626]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6.26 |
용접기능사 필기 [0626]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