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산림기능사 필기 [0618] 기출문제 모의고사 입니다.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 중에서 산림기능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각 문제 하단에
버튼을 클릭하면 정답 및 해당문제의 출제년도 및 회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들은 출제된 시기에 맞는 답으로 기재되어 있다보니, 관련법령이 바뀌었거나 기타 이유로 현재와 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산림기능사 시험과목은 " 조림 및 육림기술, 산림보호, 임업기계일반 "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모의고사
조림 및 육림기술
1.
다음 중 묘령의 표시에 대한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①
2-0묘 : 상체된 일이 없는 2년생 묘
②
1-1묘 : 파종상에서 1년이 경과된 후 한 번 상체되어 1년에 지난 묘
③
1/2묘 : 삽목 후 반년(6개월)이 경과한 묘
④
1/1묘 : 뿌리의 나이가 1년 줄기의 나이가 1년인 묘
정답 : ③ 1/2묘 : 삽목 후 반년(6개월)이 경과한 묘 (2012년4회)
2.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와 가장 거 리가 먼 것은?
①
위도
②
광선
③
수분
④
온도
정답 : ① 위도 (2011년1회)
3.
우량한 종자의 채집을 목적으로 지정한 숲은?
①
산지림
②
채종림
③
종자림
④
우량림
정답 : ② 채종림 (2010년2회)
4.
개벌작업의 장점에 대항되지 않는 것은?
①
성숙한 임목의 숲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방법이다.
②
현재의 수종을 다른 수종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적절한 방법이다.
③
다양한 크기의 목재를 일시에 생산하므로 경제적 수입면에서 좋다.
④
벌채작업이 한 지역에 집중 되므로 작업이 경제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정답 : ③ 다양한 크기의 목재를 일시에 생산하므로 경제적 수입면에서 좋다. (2014년2회)
5.
밤나무를 식재면적 1ha에 묘목간 거리 5m로 정사각형 식재를 할 때 총 소요 묘묙 본수는?
①
400본
②
500본
③
1200본
④
3000본
정답 : ① 400본 (2009년4회)
6.
묘목의 관리 중 솎기작업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낙엽송, 삼나무, 편백 등은 2~3회 솎기작업을 한다.
②
소나무류, 전나무류 등은 1~2회 나누어 실시한다.
③
솎기시기는 본엽이 나온 때와 8월 하순경에 실시 한다
④
솎기작업을 한 후에는 관수할 필요가 없다.
정답 : ④ 솎기작업을 한 후에는 관수할 필요가 없다. (2013년4회)
7.
조림지 중 어린 임분에서 밀도가 높은 생장이 비슷할 때 한 줄씩 간벌하는 것은?
①
정성간벌
②
정량간벌
③
도태간벌
④
기계적 간벌
정답 : ④ 기계적 간벌 (2010년4회)
8.
대나무 숲의 갱신은 원칙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벌채하는가?
①
개벌작업
②
산벌작업
③
택벌작업
④
중림작업
정답 : ③ 택벌작업 (2009년4회)
9.
침엽수의 가지를 제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①
가지밑살의 끝부분에서 자른다.
②
가지가 뻗은 방향에 직각되게 자른다.
③
수간에 오목한 자국이 생기게 자른다.
④
수간에 바짝 붙여 수간축에 평행하도록 자른다.
정답 : ④ 수간에 바짝 붙여 수간축에 평행하도록 자른다. (2013년1회)
10.
수풀을 띠모양으로 구획하고 2번의 개벌에 의해서 갱신이 끝나는 벌채 방식은?
①
넓은 인적의 개벌작업
②
교호대상 개벌작업
③
연속대상 개벌작업
④
군상개벌작업
정답 : ② 교호대상 개벌작업 (2009년4회)
11.
다음 중 2엽송생(한곳에서 잎이 두 개 남)인 수종은?
①
곰솔
②
백송
③
잣나무
④
리기다소나무
정답 : ① 곰솔 (2014년2회)
12.
겉씨식물에 속하는 수종은?
①
밤나무
②
은행나무
③
가시나무
④
신갈나무
정답 : ② 은행나무 (2016년2회)
13.
다음 중 교목(또는 고목)에 해당하는 수종은?
①
개나리
②
회양목
③
소나무
④
반송
정답 : ③ 소나무 (2012년4회)
14.
묘포상에서 해가림이 필요없는 수종은?
①
전나무
②
삼나무
③
사시나무
④
가문비나무
정답 : ③ 사시나무 (2016년2회)
15.
종자의 성숙기가 6~7월인 수종은?
①
소나무
②
층층나무
③
자작나무
④
벚나무
정답 : ④ 벚나무 (2012년1회)
16.
종자의 정선법 중 풍구, 키, 선풍기 또는 종자풍선 용으로 만든 동력식 장치 등으로 종자에 섞여있는 종자날개, 잡물, 쭉정이 등을 선별하는 방법은?
①
입선법
②
사선법
③
풍선법
④
액체선법
정답 : ③ 풍선법 (2010년2회)
17.
결실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수목의 식재밀도를 높게 한다.
②
줄기의 껍질을 환상으로 박피한다.
③
간벌이나 가지치기를 하지 않는다.
④
차광망을 씌워 그늘을 만들어 준다.
정답 : ② 줄기의 껍질을 환상으로 박피한다. (2015년4회)
18.
종자의 발아력 조사에 쓰이는 약제는?
①
에틸렌
②
지베렐린
③
테트라졸륨
④
사이토키닌
정답 : ③ 테트라졸륨 (2016년2회)
19.
윤벌기가 80년이고 벌채구역이 4개인 임지에서의 회귀년의 기간으로 알맞은 것은?
①
20년
②
25년
③
30년
④
40년
정답 : ① 20년 (2014년4회)
20.
잣나무 2 - 1 - 1 묘란 몇 년생 묘목을 뜻하는가?
①
1년생
②
2년생
③
3년생
④
4년생
정답 : ④ 4년생 (2010년1회)
21.
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료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오리나무
②
갈참나무
③
자귀나무
④
소귀나무
정답 : ② 갈참나무 (2016년2회)
22.
치수 무육(어린나무 가꾸기)작업의 가장 큰 목적은?
①
목재를 생산하여 수익을 얻기 위함이다.
②
숲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③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함이다.
④
불량목을 제거하여 치수의 생육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공하기 위함이다.
정답 : ④ 불량목을 제거하여 치수의 생육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함이다. (2013년1회)
제공하기 위함이다. (2013년1회)
23.
소나무의 용기묘 생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비는 관수와 함께 실시한다.
②
겨울에는 생장을 하지 않으므로 관수하지 않는다.
③
육묘용 비료는 하이포넥스(Hyponex)나 BS그린을 사용한다.
④
피트모스, 펄라이트, 질석을 1:1:1의 비율로 상토를 제조한다.
정답 : ② 겨울에는 생장을 하지 않으므로 관수하지 않는다. (2016년4회)
24.
질소의 함유량이 20%인 비료가 있다. 이 비료를 80g 주었을 때 질소성분량으로는 몇 g을 준 셈이 되는가?
①
8g
②
16g
③
20g
④
80g
정답 : ② 16g (2013년4회)
25.
침엽수의 수형목 선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관이 넓을것
②
생장이 왕성할 것
③
상층 임관에 속할 것
④
상당한 종자가 달릴 것
정답 : ① 수관이 넓을것 (2015년1회)
산림보호
26.
내화력이 강한 침엽수종으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삼나무, 편백
②
소나무, 곰솔
③
삼나무, 분비나무
④
은행나무, 분비나무
정답 : ④ 은행나무, 분비나무 (2015년2회)
27.
낙엽송 잎떨림병 방제에 주로 사용하는 약제는?
①
지오람 수화제
②
만코제브 수화제
③
디플루벤주론 수화제
④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정답 : ② 만코제브 수화제 (2015년2회)
28.
포플러 잎녹병의 중간 기주는?
①
오동나무
②
오리나무
③
졸참나무
④
일본잎갈나무
정답 : ④ 일본잎갈나무 (2016년1회)
29.
작은 나뭇가지에 다음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알을 낳는 해충은?

①
매미나방
②
천막벌레나방
③
미국흰불나방
④
복숭아심식나방
정답 : ② 천막벌레나방 (2016년1회)
30.
향나무 녹병균은 배나무를 중간숙주로 하는 데 배나무에 기생하는 시기는?
①
1~2월
②
3~4월
③
5~7월
④
8~9월
정답 : ③ 5~7월 (2011년4회)
31.
땅 속에서 월동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①
솔잎혹파리
②
어스렝이나방
③
잣나무넓적잎벌
④
오리나무잎벌레
정답 : ② 어스렝이나방 (2016년1회)
32.
모잘록병의 방제법이 아닌 것은?
①
햇볕이 잘 쬐도록 한다.
②
파종량을 적게 하고 복토가 너무 두껍지 않도록 한다.
③
인산질 비료를 적게 주어 묘목을 튼튼히 한다.
④
병이 심한 묘포지는 돌려짓기를 한다.
정답 : ③ 인산질 비료를 적게 주어 묘목을 튼튼히 한다. (2009년4회)
33.
유충이 잎살만 먹고 엽맥을 남겨 잎이 그물 모양이 되며 성충은 주맥만 남기고 잎을 갉아 먹는 해충은?
①
텐트나방
②
오리나무잎벌레
③
미국흰불나방
④
박쥐나방
정답 : ② 오리나무잎벌레 (2011년4회)
34.
산림해충의 방제시 분제(粉劑)살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가주변이나 큰 도로 가까이에 사용이 용이하다.
②
저녁 때는 상승기류가 없을 때 살포한다.
③
단위시간당 액제보다 넓은 면적을 살포할 수 있다.
④
살포량은 줄기나 잎을 손으로 문질렀을 때 가루가 손에 묻을 정도이면 좋다.
정답 : ① 인가주변이나 큰 도로 가까이에 사용이 용이하다. (2011년1회)
35.
피해목을 벌채한 후 약제 훈증처리의 방제 가 필요한 수병은?
①
호두나무 탄저병
②
밤나무 줄기마름병
③
참나무 시들음병
④
잣나무 털녹병
정답 : ③ 참나무 시들음병 (2011년4회)
36.
대기오염물질로만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수소, 염소, 중금속
②
황화수소, 분진, 질소산화물
③
아황산가스, 불화수소, 질소
④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에틸렌
정답 : ② 황화수소, 분진, 질소산화물 (2014년2회)
37.
해충의 직접적인 구제방법 중 기계적방제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포살법
②
소살법
③
유살법
④
냉각법
정답 : ④ 냉각법 (2012년1회)
38.
담자균류에 의한 수병이 아닌 것은?
①
잣나무 털녹병
②
전나무 빗자루병
③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④
소나무 혹병
정답 : ③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2012년4회)
39.
수목의 대기오염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령혼효림으로 유도
②
내연성 수종으로 조림
③
택벌을 피하고 개벌로 전환
④
석회질비료를 사용하여 양료 유실 방지
정답 : ③ 택벌을 피하고 개벌로 전환 (2015년2회)
40.
다음 중 알로 월동하는 해충은?
①
솔나방
②
텐트나방
③
버들재주나방
④
삼나무독나방
정답 : ② 텐트나방 (2015년1회)
임업기계일반
41.
기계톱 엔진의 공회전시 체인톱날이 작동하 는 원인은?
①
원심 클러치의 불량
②
기계톱날 장력 조정의 불량
③
점화코일과 단류장치의 결함
④
오일과 연료 혼합비의 부정확
정답 : ① 원심 클러치의 불량 (2011년1회)
42.
다음 중 기계톱에 사용되는 연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기계톱은 2행정기관이르모 혼합유를 사용한다.
②
급유할 때에는 연료를 잘 흔들어 섞어준 뒤에 급 유해야한다.
③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가 시동이 잘 걸리고 출력이 높아 편리하다.
④
불법 제조된 휘발유를 사용하면 오일막 또는 연료 호스가 높고 연료통 내막을 부식시킨다.
정답 : ③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가 시동이 잘 걸리고 출력이 높아 편리하다. (2013년2회)
43.
윤활유로서 구비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①
유섬이 좋아야 한다.
②
점도가 적당해야 한다.
③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④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커야 한다.
정답 : ④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커야 한다.
(2015년1회)
(2015년1회)
44.
기계톱 최초 시동 시 쵸크를 닫지 않으면 어떤 현상 때문에 시동이 어렵게 되는가?
①
연료가 분사되지 않기 때문이다.
②
공기가 소량 유입하기 때문이다.
③
기화기내 연료가 막혀 있다.
④
공기 내 연료비가 낮기 때문이다.
정답 : ④ 공기 내 연료비가 낮기 때문이다. (2014년4회)
45.
다음 그림에서 톱니의 명칭이 잘못된 것은?

①
①톱니가슴
②
②톱니꼭지각
③
③톱니등
④
④톱니꼭지선
정답 : ④ ④톱니꼭지선 (2012년4회)
46.
체인톱 작업 중 위험에 대비한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①
스프라킷
②
핸드가드
③
체인잡이
④
체인브레이크
정답 : ① 스프라킷 (2016년2회)
47.
일반적으로 예불기는 시간당 몇 리터(L)를 소모되는 것으로 보고 준비하는 것이 좋은가?
①
50L
②
5L
③
0.5L
④
0.05L
정답 : ③ 0.5L (2010년1회)
48.
다음 중 양묘작업 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이리톱
②
지렛대
③
갈고리
④
식혈봉
정답 : ④ 식혈봉 (2015년1회)
49.
소형윈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리모콘 등으로 원격 조정이 가능한 것도 있다.
②
가공본줄을 설치하여 단거리 상향집재에 이용 하기도 한다.
③
견인력은 약 5톤 내외이고 현장의 지주목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④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조작하는 것은 캐디형(caddy)이라고 한다.
정답 : ③ 견인력은 약 5톤 내외이고 현장의 지주목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2015년2회)
50.
와이어로프로 고리를 만들 때 와이어로프직경의 몇 배 이상으로 하는가?
①
10배
②
15배
③
20배
④
25배
정답 : ③ 20배 (2016년2회)
51.
다음중 윤활유로서 구비해야 할 성질이 아 닌 것은?
①
유성이 좋아야 한다.
②
점도가 적당해야 한다.
③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커야 한다.
④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정답 : ③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커야 한다. (2011년2회)
52.
기계톱 일일정비의 대상이 아닌 것은?
①
에어필터(공기청정기) 청소
②
안내판 손질
③
휘발유와 오일의 혼합
④
스파크플러그 전극 간격 조정
정답 : ④ 스파크플러그 전극 간격 조정 (2009년4회)
53.
체인톱의 일상점검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나사류의 느슨함, 외관상태 점검·수리
②
적정한 체인오일 토출량 확인
③
점화플러그 전극의 간격 조정
④
체인의 장력조절
정답 : ③ 점화플러그 전극의 간격 조정 (2013년4회)
54.
벌목작업 시 안전작업 방법으로 설명이 올바른 것은?
①
작업도구들은 벌목방향으로 치우고 도피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②
벌목영역은 벌채목을 중심으로 수고의 3배이다.
③
벌목구역은 벌채목이 넘어가는 구역이다.
④
벌목영역에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야 한다.
정답 : ③ 벌목구역은 벌채목이 넘어가는 구역이다. (2012년1회)
55.
기계톱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①
이음쇠
②
핸드가드
③
체인잡이
④
안전스로틀
정답 : ① 이음쇠 (2015년2회)
56.
임업용 와이어로프의 용도 중 작업선의 안전계수 기준은?
①
2.7 이상
②
4.0 이상
③
6.0 이상
④
7.5 이상
정답 : ② 4.0 이상 (2015년2회)
57.
산림작업시 준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②
규칙적으로 휴식한다.
③
가급적 혼자서 작업한다.
④
서서히 작업속도를 높힌다.
정답 : ③ 가급적 혼자서 작업한다. (2015년4회)
58.
기계톱 안내판의 끝부분이 단단한 물체에 접촉하여 안내판이 작업자가 있는 뒤로 튀어 오르는 현상은?
①
킥백현상
②
댐핑현상
③
브레이크현상
④
오버히팅현상
정답 : ① 킥백현상 (2015년1회)
59.
체인톱에 의한 벌목작업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벌목작업 시 도피로를 정해둔다.
②
걸린 나무는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넘긴다.
③
벌목방향은 집재하기가 용이한 방향으로 한다.
④
벌목영역은 벌도목을 중심으로 수고의 1.2배에 해당한다.
정답 : ④ 벌목영역은 벌도목을 중심으로 수고의 1.2배에 해당한다. (2016년4회)
60.
2 행정 내연기관에서 연료에 오일을 첨가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①
정화를 쉽게 하기 위하여
②
엔진 내부에 윤활작용을 시키기 위하여
③
엔진 회전을 저속으로 하기 위하여
④
체인의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정답 : ② 엔진 내부에 윤활작용을 시키기 위하여 (2013년4회)
728x90
'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탁기능사 필기 [0620]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6.20 |
---|---|
설비보전기능사 필기 [0619] 기출문제 모의고사 (0) | 2023.06.19 |
사진기능사 필기 [0617] 기출문제 모의고사 (4) | 2023.06.17 |
버섯종균기능사 필기 [0614] 기출문제 모의고사 (1) | 2023.06.14 |
미용사(피부) 필기 [0611] 기출문제 모의고사 (2) | 2023.06.11 |